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급성독성물질 PSM 고려사항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관련 KOSHA에서 심사 시 급성독성물질 관련 고려하는 사항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급성독성물질 PSM 고려사항 급성독성물질 구분 해당 공정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 중 급성독성 물질 해당 여부를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1의7 급성독성물질 기준 구분 급성독성물질 LD50(경구, 쥐) 300 mg/kg(체중) 이하 LD50(경피, 쥐 또는 토끼) 1,000 mg/kg(체중) 이하 LC50(쥐, 4시간 흡입) 가스 : 2,500 ppm 이하 증기 : 10,000 mg/㎥ (10 mg/L) 이하 분진·미스트 : 1,000 mg/㎥ (1 mg/L) 이하 주1) ① LD50(경구, 쥐) : 쥐에 대한 경구투입실험에 의하여 실험동물의 50퍼센트를 사망시킬 .. 2021. 8. 4.
위험의 정량화(Risk Quantification) 우리가 위험성평가를 하여 위험성을 결정할 때 대부분 정성적 평가를 통하여 위험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그 정성적 위험성이 클 경우 정량적인 평가를 통하여 허용가능한 위험인지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객관적 수치가 중요하다. 금번에는 영국(UK)의 경우를 살펴보고 허용가능수준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위험의 정량화(Risk Quantification) 개인 안전에 대한 위험의 허용가능성(TOR, Tolerability of risks)의 정량화는 위험이 인식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소가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부작용에 대한 개인적 경험 • 사회적 또는 문화적 배경과 신념 • 특정 위험에 대한 통제 정도 • 다른 출처(예: 매체)부터 얻는 정보의 범위. 확률론적 .. 2021. 8. 2.
인터록 바이패스(우회) 및 해지 “인터록 (Interlock)”이라 함은 기기장치, 설비 및 공정의 안전성 확보와 공정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제어장치를 말한다. “우회 (Bypass)"라 함은 인터록 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도록 조작하는 행위를 말한다. “ESD (Emergence shut down) 계기”라 함은 인터록에 의해 공정 및 개별 장치를 비상으로 중지시키는 계기를 총칭하여 말한다. 인터록 바이패스(우회) 및 해지 BPCS vs. Interlock BPCS • BPCS (Basic Process Control System, 기본공정제어시스템): - Sensor, Logic Solver, Final Element로 구성 • BPCS의 3 Types : weak IPL(Independent .. 2021. 8. 2.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란 재해발생 위험이 높은 업종의 사업장 또는 특정한 기계·기구 및 설비를 설치·이전하거나 그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해당 사업주가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제출 및 심사·확인을 받음으로써 유해·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하여 사업장의 근원적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정 제도이다.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사업장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29호인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심사·확인에 관한 고시의 주요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66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제출•이행상태 확인 등 유해·위험방지 계획서는 재해발생 위험성이 높은 업종 또는 기계·기구 및 설비에 대하여 사업주가 해당 제품생산 공정과 직접적으로.. 2021. 7.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