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FAR vs. Fatality Rate 등 사고 및 손실 통계는 안전 프로그램이 잘 작동하는 지 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FAR vs. Fatality Rate 등 사고 및 손실 성과를 측정하는데 다음과 같은 지표들이 사용된다. 하기 지표들은 정해진 기간 동안 정해진 수의 작업자에 대한 사고 및/또는 사망자의 수를 나타낸다. 1. OSHA Incidence Rate (IR, 사고 발생률) 2. Fatal Accident Rate (FAR, 치명적 사고율) 3. Fatality Rate or Deaths per person per year (연간 인당 사망률) 지표 정의 1. OSHA Incidence Rate (OSHA IR) 200,000시간(100명의 종업원 년간 근무시간)당 추정 사망자 수 또는 작업 손실로 표현되는 위험 지표 •.. 2021. 6. 4. 점화원(발화원) 개요 연소는 물질이 산소와 급격한 화학반응을 일으켜 열과 빛을 내는 강력한 산화반응 현상이며 연료(가연물), 산소(공기), 점화원(발화원) 등 세 가지 요소가 동시에 있어야만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어 이를 ‘연소의 3요소’라고 한다.연소의 3요소 중 우리가 현장에서 소홀이 다루고 있고, 또 가장 관리가 필요한 점화원(발화원)에 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점화원(발화원) 개요 발화할 수 있는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존재하고 연료증기와 공기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야 한다. 이 혼합물이 발화되기 위해서는 발화원(고온 및 연소의 화학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이 존재해야 한다. 연소/화재/폭발 개념 및 연소의 3요소, 소화원리 등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https://sec-90.. 2021. 6. 2. HIPS 개요 기계적 과압방지장치의 대안으로 HIPS (High Integrity Protection System)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계기의 신뢰도를 높여 과압의 원인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과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그 내용을 고유하고자 한다. (확률론적 위험성평가와 마찬가지로 천영우교수님 논문의 내용을 기초로 하고 있음) HIPS (High Integrity Protection System) 개요 전통적인 시스템 또는 Pressure Vessel에서 과압(Over Pressure)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기계적인 장치로 Pressure Safety Valve 또는 Rupture Disk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도 과압 방지 장치로 반드시 설치가 되어야 하는 기기로 인식이 되고 있다. 최.. 2021. 5. 31. 확률론적 위험성평가 확률론적 위험성평가에 대해 이해가 어려워 여러 문헌을 검색하다가 천영우교수님의 논문에 개념설명이 잘 되어 있어 아래와 같이 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확률론적 위험성평가(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RA) 확률론적 위험성평가(또는 안전성평가)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초기사건을 파악하여, 사건별 전개 시나리오와 영향을 근간으로 모든 사고에 수반되는 총체적인 위험도(Risk)를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위험성(안전성) 평가방법이다. 이 방법은 중대사고에 이르는 사고경위와 이에 따른 노심손상빈도, 격납건물 파손확률과 사고로 인한 주민의 피폭선량 및 환경피해 등을 정량적인 수치로 제시함으로써 구체화된다. 확률론적 안전성평가는 결정론적 안전성평가로 제공되지 않는 원.. 2021. 5. 31.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