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SIL(Safety Integrity Level) 개요 현장에서는 허용하기 어려운 위험을 감소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방호계층 (Protection Layers)을 적용하며, 안전무결성수준 (Safety Integrity Level, SIL)을 적용하는 안전계장기능 (Safety Instrumented Function, SIF)은 여러 방호계층의 하나로 사고 발생을 예방하거나 결과의 심각성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SIL(Safety Integrity Level) 개요 용어의 정의 “안전무결성(Safety integrity)”이라 함은 안전 관련 시스템이 주어진 시간 동안 모든 운전상태에서 요구되는 안전기능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확률을 말한다. “안전시스템(Safety system)”이라 함은 운전설비의 안전상태를 유지하도록 안전기능을 수행하는 전기 전.. 2021. 5. 29.
RAMS 기술 RAMS는 시험, 통계분석, 신뢰성 공학 및 안전공학 등의 요소기술과 데이터베이스, 정보시스템과 같은 정보화 기술을 결합하여 시스템 신뢰성(Reliability), 가용성(Availability), 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 및 안전성(Safety) 향상을 지원하는 시스템엔지니어링 방법론으로 제반 시스템, 장비 및 기기들이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서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핵심적인 방법론으로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RAMS 기술 RAMS는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Safety의 약자로 시스템의 신뢰성, 가용성, 유지보수성 및 안전성 향상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RAMS는 시스템(철도, 국방, 전력, 원자력, 플랜트 등)의 신뢰성, .. 2021. 5. 28.
정전기 재해 방지대책 우리가 보통 이해하고 있는 전기(電氣, Electricity)란 전하의 존재 및 흐름과 관련된 물리현상으로서 동전기를 의미한다. 이와 상대적인 개념으로 정전기(靜電氣, Static electricity)는 물체(주로 유전체)에 전하가 축적되어있는(대전된) 상태지만, 축적되어있는 전하 자체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전하는 항상 전기장에 의한 효과와 자기장에 의한 효과를 가지지만, 정전기는 전기장에 의한 효과가 클 경우다. 정전기 재해 방지대책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설비를 사용할 때에 정전기에 의한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설비에 대하여 확실한 방법으로 접지를 하거나, 도전성 재료.. 2021. 5. 24.
화학사고 형태 및 평가 화학물질관리법에서 “화학사고”란 시설의 교체 등 작업 시 작업자의 과실, 시설 결함ㆍ노후화, 자연재해, 운송사고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유출ㆍ누출되어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말한다. 화학사고 형태 및 평가사례 화학사고 형태 1. 화재 - 저장용기에 저장된 화학물질이 누출된 후 점화원에 의해 점화되어 지속적으로 연소되는 현상 - 화재는 연소되는 현상에 따라 다시 화구(Fire ball), 풀화재(Pool fire), 제트화재(Jet fire) 등으로 구분 - 화재에 의한 피해는 복사열(Thermal radiation) 2. 폭발 - 폭발은 가연성 물질이 대기 중에서 증기운(Vapor claud)을 형성한 상태에서 점화원에 의해 순간적으로 폭발하는 현상 - 폭발로 인한 피해는 과압(Ovepr.. 2021. 5.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