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위험물 취급작업 안전대책 동영상 소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유해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의 근로자는 특별 안전보건교육을 받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서는 이들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용 동영상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배포하였는데 그 내용을 금 번에 포스팅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위험물 취급작업 안전대책 동영상 소개 안전대책 동영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위험물질 취급 작업의 특성과 유해위험요인 2. 안전대책 - 물질정보의 파악과 작업의 이해 - 위험물 취급 작업의 안전작업수칙 - 안전한 설비 및 작업환경 3. 안전의식 강조 위험물 취급 작업 안전수칙 위험물을 포함한 화학사고의 유형은 화재˙폭발˙누출 형태로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위험물질 취급 작업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화재"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 항목에 대해서.. 2021. 3. 30. 스크러버(세정설비) 위험성 및 안전대책 배출물질의 일종인 폐가스 등을 처리하는 환경설비 중에 스크러버(세정설비)는 공정 및 생산설비 대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잘못된 사고(思考)로 인해 공정설비에 못 미치는 설비관리, 보전활동 수준 등 관리 소홀과 운전 실수, 설부 보수 중 내부 체류 인화성 가스에 인한 화재·폭발 및 중화 물질인 산 종류에 근로자가 폭로될 위험이 높다. 스크러버(세정설비) 위험성 1. 불용성 탄화수소 미 제거 시 대기 중 폭발 분위기 형성 ○ 스크러버는 위험물을 처리하는데 기체와 액체를 향류 또는 병류로 접촉시켜 폐가스로부터 특정성분을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공정으로 물을 흡수액으로 사용하는 흡수탑의 경우, - 흡수탑에서 불용성인 탄화수소(톨루엔 등)를 포함한 폐가스를 흡수 처리할 경우, 물에 용해되지 않은 톨루엔 증기가 흡수탑.. 2021. 3. 29. PSM에서 용접효율과 비파괴검사의 관계 공정안전보고서의 "장치 및 설비명세" 작성 시 용접효율과 비파괴검사율를 기입하는 항목이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 둘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PSM에서 용접효율과 비파괴검사의 관계 공정안전보고서의 "장치 및 설비명세" 작성 시 용접효율과 비파괴검사율를 기입하는 항목이 있다. 용접효율 : 용접이음종류 및 방사선투과시험 실시여부에 따라 기입 ※ 설계코드에 따라 용접이음종류 및 방사선투과시험 실시여부에 따라 적용 하는 용접효율 기입 ▶ 용접효율의 세부적인 내용은 이전 포스팅한 다음 자료 참조 sec-9070.tistory.com/170 압력용기 용접설계 용접 구조로 제작하는 용기는 용착 금속이나 열 영향부의 결함을 방지하고 잔류 응력을 완화할 목적으로 예열, 후열 처리 또는 응력 제거를 한다. 기압 .. 2021. 3. 24. 잠재적 인명 손실(PLL)의 개념 잠재적 인명 손실(Potential Loss of Life (PLL))의 개념은 제3자의 위험 수용(Risk Acceptance)에 대해 논의할 때 종종 사용되는데 .간 사망자 수로 표현되는 단순한 수치로, 지역사회에 대한 잠재적 인명의 총 손실 가능성을 표현한다. 잠재적 인명 손실(PLL)의 개념 잠재적 인명 손실(Potential Loss of Life (PLL))의 개념은 제3자의 위험 수용(Risk Acceptance)에 대해 논의할 때 종종 사용된다. 이것은 석유 굴착 작업이 이루어 지는 위험한 작업장과 같은 곳에서 쉽게 사용되는 용어이다. 인명의 잠재적 손실은 (즉, 수학적 통합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개인적) 위험을 요약하고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람들이 차지하는 최대 거리 보호의 평가 후).. 2021. 3. 15.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