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폭발위험장소 구분 관련 공식(KS C IEC 60079-10-1 : 2020) 희석을 위한 이론적 최소 환기량, 희석에 요구되는 시간에 대한 KS C IEC 60079-10-1 : 2015 vs. KS C IEC 60079-10-1 : 2020 변경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폭발위험장소 구분 관련 공식(KS C IEC 60079-10-1 : 2020)다음 내용은 대기조건에서 공기 중의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의 분포 및 희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일부 매개변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유용한 공식들이다.  LFL 미만 희석을 위한 이론적 최소 환기량● 누출된 인화성 물질의 공기를 통한 희석신선한 공기의 흐름이 인화성 물질의 농도를 인화하한 값 미만으로 희석시키기 위한 이론적 최소 환기량(Qa min) 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KS C IEC 60079-10-1.. 2025. 1. 22.
가상체적(Vz) 계산 가상체적(Vz)는 가연성 가스 또는 증기의 평균 농도가 안전율 k값에 따라 폭 발하한의 0.25 또는 0.5배가 되는 체적을 나타내고, 이는 환기등급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가상체적(Vz) 계산가상체적(Vz) 가상체적( Vz )는 가연성 가스 또는 증기의 평균 농도가 안전율 k값에 따라 폭발하한의 0.25 또는 0.5배가 되는 체적을 나타낸다.즉 가상체적의 경계부에서의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폭발하한보다 훨씬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농도가 폭발하한 이상이 되는 체적이 Vz보다 작게 된다. 즉,Vz는 LEL 보다 높은 농도를 갖는 체적임을 뜻한다.Vz의 계산은 환기등급을 평가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누출원에서부터 연소가 가능한 곳까지의 경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다. 그러나 형상이 정.. 2025. 1. 19.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 제외 PSM 관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에서 적용이 제외되는 비상발전기용 경유의 저장탱크에 대한 법적 근거를 공유하고자 한다.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 제외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에 대해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관련 법규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3조(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설비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로 보지 않는다. 1. 원자력 설비 2. 군사시설 3. 사업주가 해당 사업장 내에서 직접 사용하기 위한 난방용 연료의 저장설비 및 사용설비 4. 도매ㆍ소매시설 5. 차량 등의 운송설비 6.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의 충전ㆍ저장시설 7... 2024. 12. 27.
화학물질 세정 작업 안전보건 조치 사항 전자산업 공정 설비에서 사용했던 장비, 기계, 부품 등을 산, 알칼리, 유기용제 등 화학물질을 이용한 세정(cleaning) 작업에 대한 안전보건 조치 사항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물질 세정 작업 안전보건 조치 사항전자산업 공정 설비에서 사용했던 장비, 기계, 부품 등을 산, 알칼리, 유기용제 등 화학물질을 이용해서 세정(cleaning)할 때 화학물질 노출, 누출, 폭발, 질식, 부상 등 잠재적 안전보건 유해·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작업 전, 중, 후의 주요 작업 절차를 따라야 한다.   화학물질 세정 작업 유해·위험 요인전자산업 공정 설비에서 사용했던 장비, 기계, 부품 등을 산, 알칼리, 유기용제 등 화학물질을 이용해서 세정(cleaning)할 때 화학물질 노출, 누출, 폭발, 질식, 부상 .. 2024. 12.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