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설치관리기준/보건관리51

밀폐공간 작업시 조치 밀폐공간이란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결핍(산소농도가 18% 미만인 상태), 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해와 인화성물질에 의한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별표18]에서 정한 장소)를 말한다.그러나 밀폐공간은 반드시 현재 산소결핍 상태이거나 유해가스로 차 있는 상태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작업과정 중 산소결핍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공간도 밀폐공간에 해당 된다. 밀폐공간 작업시 조치밀폐공간의 주요 유해·위험 요인으로는,- 밀폐공간내 산소 결핍 또는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중독 재해 - 불활성가스 등 치환용 가스 사용으로 인한 질식 재해 - 미생물 증식, 유기물 부패 등에 의한 산소결핍 - 인화성물질에 의한 증기 등 체류로 점화원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 등이 있다. 산.. 2025. 6. 11.
밀폐공간 위험한 공기 밀폐공간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유해가스, 즉 ‘위험한 공기’가 있는 이유는 바로 산소부족이나 유해 가스가 발생할 만한 조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밀폐공간 위험한 공기위험한 공기 발생 이유(조건)밀폐공간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유해가스, 즉 ‘위험한 공기’가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발생할 만한 조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1. 저장용기나 저장물질의 산화● 저장용 탱크 내벽 또는 저장물이 산화되거나 반응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산소를 소모하여 탱크 내부를 산소부족 상태로 만든다. - 저장용 탱크 재질의 산화 철재 탱크 내에 물기가 있거나 장기간 밀폐되면 내벽이 산화(녹이 스는 현상)되면서 탱크 내부의 산소를 소모한다. → 강재의 보일러, 탱크 반응탑, 압력용기, 반응기, 추출기, 분리기, 열교환기, 선창, 선박의 .. 2025. 6. 1.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의 수립ㆍ시행 사업주는 밀폐공간에서 근로자에게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경우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의 수립ㆍ시행 관련 법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9조(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의 수립ㆍ시행) ① 사업주는 밀폐공간에서 근로자에게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내용이 포함된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1. 사업장 내 밀폐공간의 위치 파악 및 관리 방안2. 밀폐공간 내 질식ㆍ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ㆍ위험 요인의 파악 및 관리 방안3. 제2항에 따라 밀폐공간 작업 시 사전 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확인 절차4. 안전보건교육 및 훈련5. 그 밖에 밀폐공간 작업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사항② 사업주는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 2025. 6. 1.
밀폐공간 작업 절차 밀폐공간 작업은 사고 발생 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작업 절차 준수가 매우 중요하다. 밀폐공간 작업 절차밀폐공간 작업 절차 개요사업주는 근로자가 밀폐공간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확보를 위해 다음 그림의 작업절차를 준수하도록 하고, 작업책임자나 관리자로 하여금 필요한 감독을 수행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동 철차는 사업장 및 밀폐공간 작업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적용한다. 밀폐공간 작업의 절차 밀폐공간 작업이 동일 사업장의 여러 부서와 회사가 관련된 경우, 작업 시 사전 위험정보 제공, 작업의 시작시간, 작업 또는 작업장 간 연락방법, 재해발생 위험시 대피방법 등 유해위험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수단을 작업 전에 강구하여야 한다. 밀폐공간 .. 2025. 5.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