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치관리기준/보건관리46 액체의 기화 속도 추정 공장 설계 및 운영 단계에서 개방된 용기 및 유출 지역에서 액체의 기화 속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어 이를 계산하는 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액체의 기화 속도 추정포화 증기압이 높은 액체는 더 빨리 증발한다. 따라서 증발 속도(질량/시간)는 포화 증기압의 함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정체된 공기 중으로 증발하는 경우 증발 속도는 포화 증기압과 정체된 공기 중 증기의 분압의 차이에 비례한다; 즉(식 1)여기서psat는 액체의 온도에서 순수한 액체의 포화 증기압이고 p는 액체 위의 정체된 bulk 기체에서 증기의 분압이다. 기화 속도에 대한 보다 일반화된 다음 식을 사용할 수 있다:(식 2) 여기서Q= 증발 속도(질량/시간)M= 휘발성 물질의 분자량K= 면적 A에 대한 질량 전달 계수(길이/시간)R.. 2024. 6. 15. 밀폐공간 휘발성 증기 농도 계산 공장 설계 단계에서 밀폐된 공간의 개방된 용기 위, 드럼이 채워진 곳, 유출 지역에서 증기 농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어 이를 계산하는 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밀폐공간 휘발성 증기 농도 계산유독성 증기 노출을 파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증기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설계 목적으로 증기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통상 드럼이 채워진 곳에서 개방된 용기 위와 유출 지역에서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 진다고 가정할 필요가 있다. 휘발성 증기 농도 계산식다음 그림과 같은 밀폐된 공간을 생각해 보자. 이 인클로저는 일정한 부피의 공기 흐름으로 환기된다. 휘발성 증기는 인클로저 내로 방출(주입)한다. 밀폐된 공간에서 휘발성 증기의 물질수지 공기 중 휘발성 물질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변수를.. 2024. 6. 14. 호흡보호구 선정절차(실험실) 금번에는 실험실에서 비치하고 사용하는 호흡보호구 선정절차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호흡보호구 선정절차(실험실)선정 전 고려사항- 호흡보호구를 선정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이 화학물질의 호흡과 관련한 유해성 및 조건을 알아야 한다.(1) 오염물질의 종류 및 농도와 같은 일반적인 특성(2) 오염물질의 물리화학 및 독성 특성(3) 노출기준(4) 예상농도(5) IDLH 농도(6) 실험실 내부의 산소농도 혹은 예상 산소농도(7) 눈에 대한 자극 혹은 자극 가능성(8) 오일 에어로졸의 존재 여부 등 환경인자- 공기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실험시간, 주기, 위치, 물리적인 조건 및 공정 등 실험의 일반적인 조건을 포함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정화통은 교환주기표에 따라 교환하여야 하며 냄새에 의존하지 않아야 .. 2024. 5. 18. 관리대상유해물질 취급 관리 관리대상유해물질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12로 정한 물질을 말하며 관리대상유해물질 취급 관리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관리대상유해물질 취급 관리 “관리대상 유해물질”이란 근로자에게 상당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법 제39조에 따라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보건상의 조치가 필요한 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ㆍ흄, 미스트로서 별표 12에서 정한 유기화합물(117종), 금속류(24종), 산ㆍ알칼리류(17종), 가스상태 물질류(15종) 총 173종 물질을 말한다. “특별관리물질”이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8 제1호나목에 따른 발암성 물질,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 생식독성(生殖毒性) 물질 등 근로자에게 중대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물질로서 별표 12에서 특별관리물질로 표기.. 2024. 4. 12. 이전 1 2 3 4 5 ··· 1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