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결과 기반 분석 방법 vs. 위험 기반 분석 방법 결과 기반 분석 방법(Consequence-based risk analysis methods)은 결정론적(Deterministic) 위험 분석 방법이라고도 한다. 위험 기반 분석 방법(Risk-based risk analysis methods)은 위험을 빈도와 결과의 조합으로 인식하며 확률론적(Probabilistic) 방법의 예이다. 결과 기반 분석 방법 vs. 위험 기반 분석 방법 결과 기반 분석 방법(Consequence-based risk analysis methods) 결과 기반 분석 방법(Consequence-based risk analysis methods)은 결정론적(Deterministic) 위험 분석 방법이라고도 한다. 결과 기반 방법은 빈도수를 명시적으로 정량화하지 않고 신뢰할 수 있.. 2021. 3. 15. 개인적 위험 vs. 사회적 위험 개인적 위험(Individual risk)은 위치 기반 위험(Location-based risk)이라고도 하며 개인적 위험을 위험원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개인이 노출되는 위험으로 정의한다. 사회적 위험(Societal or group risk)은 한 무리의 사람들이 동시에 사고의 결과에 노출되는 위험을 나타낸다. 사회적 위험과 위치 기반 위험의 기준은 서로를 보완하는 데 사용된다. 개인적 위험 vs. 사회적 위험 개인적 위험(위치 기반 위험) : Location-based (individual) risk 개인적 위험'(Location-based (individual) risk)이라는 용어는 정량적 위험 기준과 관련하여 자주 사용된다. DS/INF 85는 개인적 위험을 위험원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개인이 노출.. 2021. 3. 15. 공정위험성평가 기법종류 공정위험성평가 기법은 사업단계와 평가의 목적, 그리고 공정형태에 따라 다르게 선정하여 사용한다. 본 포스팅에서는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로 구분하여 공정위험성평가 기법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공정위험성평가 기법 종류 공정위험성평가는 크게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성적 평가는 어떠한 위험요소가 존재하는지를 찾아내는 평가방식입니다. 비교적 쉽고 빠른 결과도출이 가능하고 비전문가도 접근이 용이하며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주관적 평가로 치우치기 쉽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정량적 평가는 찾아낸 위험요소를 확률적으로 분석·평가하는 것으로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결과 도출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고 전문가에 의해 평가가 가능하며 통계데이.. 2021. 3. 8. 위험물질 취급사업장 매뉴얼 위험물로 인한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위험이 없는지 기본적인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화기관리, 누출방지 조치, 정전기 및 전기 점화원 관리, 유해물질 관리 등에 대한 위험물질 취급사업장 매뉴얼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위험물질 취급사업장 매뉴얼 1. 위험물취급 및 화기관리 ■ Key Point 위험물로 인한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위험이 없는지 기본적인 관리여부를 확인 ■ 관련 주요 규정(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o 가스용기는 전도의 위험이 없을 것(234조) o 기름 또는 인쇄용 잉크류 등이 묻은 천조각이나 휴지 등은 뚜껑이 있는 불연성 용기에 담을 것(238조) o 화학설비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및 누름버튼은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색채 등으로 표시하여 구분할 것(258조) - 제어반 o 원재.. 2021. 3. 4.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