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시나리오 분석 조건 “사고시나리오”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서 화재, 폭발 및 유출ㆍ누출 사고로 인한 영향범위가 사업장 외부로 벗어나, 보호대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고를 의미한다. 취급시설에서 사용되는 동일 유해화학물질의 화재ㆍ폭발과 독성 시나리오 영향범위가 사업장 부지 경계를 벗어날 경우, 모두 사고시나리오로 선정한다. 시나리오 분석 조건 시설별 최대보유량 산정 “최대보유량”이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서 어느 순간이라도 기준함량 이상의 유해화학물질이 취급되거나 존재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의 체류최대 용량을 말한다. 다만 배관 내에서 체류하는 양은 제외한다. ① 시나리오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단위설비를 대상으로 하되, 취급시설의 최대보유량은 취급시설의 설계용량과 취급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성상 및 비중 .. 2021. 7. 6. 건축물 화재의 발생현상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나타나는 현상으로 플래쉬오버(Flash over)와 백드래프트 (Back draft)가 있는데 이 현상은 화재 확산의 주요인자가 되며, 소화 등 진압단계에 대처하는 사람에게 큰 피해를 가져오므로 발생과정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플래쉬오버(Flash Over) vs. 백 드래프트(Back Draft) 플래쉬오버(Flash Over) 플래쉬오버는 구획내 가연성 재료의 전체 표면이 불로 덮이는 전이현상으로 정의되며, 화재발생 초기에 연소는 착화물 주변에 한정되어 있지만 점차 그 범위가 확대되고 연소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불완전 연소된 가연성 가스가 천장에서 체류되어 하부로 내려오면서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범위에 들어가면 일시에 인화하여 실내전체가 화염으로 휩싸이는 현상 백 드래프.. 2021. 6. 25. 액면 화재(Pool fire) 개방된 용기 내에 탄화수소계가 저장된 상태에서 증발되는 연료에 점화된 난류적인 확산형 화재로 풀의 상부 표면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증발 풀 화재(Pool fire)는 초기에 진압 하지 않으면 진압이 어렵다.(화재시간 : 수 시간) 액면 화재(Pool fire) 개방된 용기 내에 탄화수소계가 저장된 상태에서 증발되는 연료에 점화된 난류적인 확산형 화재로 풀의 상부 표면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증발 풀 화재(Pool fire)는 초기에 진압 하지 않으면 진압이 어렵다. 풀 화재(Pool fire)산업화재 특성 산업화재의 주된 원인은 대량의 탄화수소계 위험물질의 취급과 관련된 석유화학 공정이나 가연성가스 산업에서의 저장 및 이송, 반응, 정제, 분리 등을 행하는 기계설비의 고장 등.. 2021. 6. 25. HAZOP 전제조건과 유의사항 HAZOP은 화학공장의 위험성과 운전성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사건에 대한 이탈을 적용하는 검토 기법이다. 금번에는 HAZOP 전제조건과 유의사항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HAZOP 전제조건과 유의사항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팀 리더는 구성원에게 다음과 같은 전제 조건과 유의사항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하고 토론수행 중에도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 HAZOP 전제조건 (1) 동시사고 및 고장 가능성 배제 화학공장은 대개 비상시를 대비하여 중복 설계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즉 펌프 A의 고장에 대비하여 예비로 B펌프를 설치하였는데 A, B펌프의 동시 고장이라는 경우의 문제가 제기 된다면, C, D 펌프의 추가 필요성이 논의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기능의 두 가지 이상의 기기 및 부.. 2021. 6. 23.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