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서비스업 주요 사망사고 유형 및 예방대책 전부 개정된 산안법에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즉 특수형태근로종사자로부터 노무를 제공받는 자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필요한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를 하여야 한다. 금번 그에 대해 사고 유형 및 예방대책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서비스업 주요 사망사고 유형 및 예방대책 1. 떨어짐 사고 주요 사고 사례 예방대책 » 작업자 스스로 바닥상태 확인, 바닥은 청결하게 유지 및 미끄러짐 방지 신발 착용 » 폐기물 수거를 위한 이동 시 안전한 승차석에 탑승 이동 및 안전모 착용 철저 » 중량물은 나눠서 운반하고 어두운 장소는 손전등 등 휴대용 조명기기 지참 » 달비계작업은 안전대 부착 설비 설치, 옥상 앵커에 달비계 지지로프 결속 및 안전모 착용 철저 2. 교통사고 주요 사고 사례 예방대책 .. 2021. 8. 15. PSM 등급관리 고용노동부예규 제170호(2020. 3. 19) 중대산업사고 예방센터 운영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PSM 등급별 관리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PSM 등급관리 관련법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4조(공정안전보고서 이행 상태의 평가) ① 법 제46조제4항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은 같은 조 제2항에 따른 공정안전보고서의 확인(신규로 설치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의 경우에는 설치 완료 후 시운전 단계에서의 확인을 말한다) 후 1년이 지난 날부터 2년 이내에 공정안전보고서 이행 상태의 평가(이하 "이행상태평가"라 한다)를 해야 한다. ② 고용노동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이행상태평가 후 4년마다 이행상태평가를 해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1년 또는 2년마다 이행상태평가를 할 수 .. 2021. 8. 11. 고장률(Failure Rate) 신뢰도(Reliability)란 시스템 혹은 부품이 작동을 시작하여 그 시점까지 고장 나지 않고 여전히 작동되고 있을 확률을 의미한다. 신뢰도와 연관된 고장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고장률(Failure Rate) 고장률은 특정 시점까지 고장 나지 않고 작동하던 부품이 다음 순간에 고장 나게 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 될 것인가를 나타 내는 척도이다. 고장률(λ) 개념 고장률은 종종 단순한 항목과 구성요소(simple items and components)의 신뢰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안전 시스템의 고장률과 같은 특정 기능의 신뢰성을 표현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는 지정된 장비 또는 시스템의 고장 사이의 평균 작동 시간(up.. 2021. 8. 10. PSM 비상전원 고려사항 화재ㆍ폭발 등 중대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기계ㆍ설비에 비상발전기, 비상전원용 수전(受電)설비, 축전지 설비, 전기저장장치 등 비상전원을 접속하여 정전 시 비상전력이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 PSM (공정안전보고서) 추진 시 고려하여야 한다. PSM 비상전원 고려사항 “비상전원(Emergency power)”이라 함은 상용전원이 사고나 고장에 의해 공급되지 못할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전력공급원으로, 비상발전기·축전지 설비·무정전전원공급장치 등을 말한다.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6조(예비동력원 등) 사업주는 특수화학설비와 그 부속설비에 사용하는 동력원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동력원의 이상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즉시 사용할 수.. 2021. 8. 8. 이전 1 ··· 62 63 64 65 66 67 68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