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위험성평가 주체 및 실시시기 등 다음 내용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김진헌 실장님의 “위험성평가, 누가 언제 하는가?”의 제목으로 KOSHA 보고서에 수록한 내용으로 평소 산업현장에 당부하는 공감하는 주제로서 공유하고자 한다. 위험성평가 주체 및 실시시기 등 위험성평가 제도 배경 유럽에서 법제화된 위험성평가 제도는 기존에 이루어지던 안전보건관리에 비해 차원이 다른 새로운 개념, 접근방식이 아니다. 유해·위험요인(Hazard)을 찾고 관련 위험성(Risk)을 없애거나 낮추기 위해 평가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관리하는 등 해결에 요구되던 개별적 접근방식을 일반화시키고 종합하여 기본적 개념을 재구성하고 절차를 잘 정리한 것이다. 유럽에서는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던 여러 섀도 있었지만, 새롭게 정리된 위험성평가 제도를 1.. 2022. 12. 6.
정비보수작업 시 안전작업허가 절차 화학설비 등의 정비보수작업 시의 안전을 확보하여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중대산업사고 및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작업허가 절차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정비보수작업 시 안전작업허가 절차 일반사항 - 현장에서 수행되는 모든 작업에 대해서는 사업장의 안전작업허가절차에 따라 반드시 작업허가서를 발급 받은 후에 작업하여야 한다. - 작업허가서 발행은 사업장의 안전작업허가절차에 따른다. [그림 1] 안전작업허가서 발급절차예시 작업위험성평가 - 작업허가서 승인 요청 시에는 해당 작업의 진행단계별 작업내용과 단계별 위험성 및 예방대책을 분석한 결과를 첨부하여야 한다. - 작업위험성평가는 작업안전분석기법(JSA), 체크리스트기법, What-if기법, 4-M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작업위험성평가기법 중 작.. 2022. 12. 2.
정비보수작업 시 협력업체 관리 화학설비 등의 정비보수작업 시의 안전을 확보하여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중대산업사고 및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협력업체 관리 방안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정비보수작업 시 협력업체 관리 안전관리 조직 1. 모기업의 안전관리 조직 (1) 모기업의 안전관리 조직은 주야간 작업을 고려하여 교대별로 작업을 관리할 수 있는 조직을 구성한다. (2) 야간에도 비상대응을 할 수 있는 비상대응조직을 구축한다. (3) 협력업체의 작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작업별 및 부서별 조직을 구축한다. (4) 기타 추가적인 사항은 KOSHA Guide P-00-0000(협력업체관리 절차서)를 참조한다. 2. 협력업체의 안전관리 조직 (1) 협력업체별로 해당 직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조직도를 작성하고, 비상연락망을 구축하여야 한다... 2022. 12. 2.
동절기 공정안전 관리 방안 동절기 동결.동파 방지 대비 관련 공정안전 관리 방안을 공유하고자 한다. 동절기 공정안전 관리 방안 동절기 공정 관리 항목 (1) Cooler By-Pass Open (2) Steam Trap.(Steam Tracing Steam Trap) (3) Dead Zone Point. (4) Electric Tracing (5) 계기 Sensing Line 부동액 주입 (6) 공정 지역 보온 (7) Instrument Air Leak Test (8) 소방 설비 시설 점검 세부 내용 (1) 배관 및 저장용기류의 보온 상태를 점검하여 보온재가 탈락, 훼손되었거나 시공되지 않은 곳은 누락없이 보수. (2) 보온재 시공과 더불어 일정 온도 이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열선 또는 스팀 튜브 등을 이용하여 설치한 Heat T.. 2022. 12.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