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화학물질 유해성 등급 화학물질의 위험성 계산은 해당 화학물질에 대한 작업환경측정결과나 노출기준 등에 따라 결정하는데 금 번 유해성(Severity, 강도)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물질 유해성 등급 유해성 등급은 다음과 같이 네가지 방법에 의해 결정되며, “방법1 >방법 2 > 방법 3 > 방법 4”의 우선순위로 적용한다. 유해성 등급 결정 방법 [방법 1] CMR 물질(1A, 1B, 2) 해당여부 확인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8호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별표 1]에서 제공되는 발암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및 생식독성(CMR) 물질(1A, 1B, 2)에 해당되는 경우 유해성을 4등급으로 하고 CMR 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방법 2 ~ 방법 4” 적용 ※ 고용노동부고시 이외.. 2022. 12. 16. 화학물질 노출수준 등급 화학물질의 위험성 계산은 해당 화학물질에 대한 작업환경측정결과나 노출기준 등에 따라 결정하는데 금 번 노출수준(Probability, 빈도)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물질 노출수준 등급 노출수준 등급은 다음과 같이 세가지 방법에 의해 결정되며, “방법1 >방법 2 > 방법 3”의 우선순위로 적용한다. 노출수준 등급 결정 방법 [방법 1] 직업병 유소견자 발생여부 확인 ◈ 특수건강진단결과표를 확인하여 직업병 유소견자(D1) 발생한 경우 노출수준을 4등급으로 하고, 직업병 유소견자 발생이 없는 경우 “방법 2 또는 방법 3” 적용한다. [방법 2] 작업환경측정결과 확인 ◈ 화학물질별 측정결과를 활용하여 노출수준 등급 분류 노출수준 등급 분류 ◈ 작업환경측정결과 사용시 유의사항 ● 화.. 2022. 12. 16.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방법 산업안전보건법상 MSDS 제도 및 작업환경측정제도를 활용한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기법(CHARM*)」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 CHARM : Chemical Hazard Risk Manageme)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방법 개발된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기법은 사업장이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이하 “화학물질” 이라 한다)에 의한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고, 그 결과에 따라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1단계 : 사전준비 본 단계는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부서 또는 공정(작업)을 구분하고, 평가대상 선정, MSDS, 작업환경측정 결과표 및 특수건강진단 결과표 등의 자료를 확보하는 단계이다. ● 위험성평가 대상사업장의 부서 또는 공정(작업) 단위는 화.. 2022. 12. 16. 상압 저장탱크의 안전 위험물을 제조·취급하는 화학업종, 폐기물 처리업 등의 사업에서 상압 저장탱크 관련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안전조치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상압 저장탱크의 안전 상압 저장탱크의 위험성 다음과 같이 크게 폭발ㆍ화재 위험성, 질식ㆍ중독 위험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폭발ㆍ화재 위험성 ㆍ상압 저장탱크 상부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서 폭발시 작업자 추락으로 1차 피해 ㆍ유해위험물질 대량 취급하므로 내용물이 소진될 때까지 진화불가 → 인근 탱크로 화재 전파 ☞ 화재위험작업 시에는 반드시 탱크를 비우고 플러싱 및 치환작업을 완료한 후에 작업 ※ 화재위험작업 이란? 용접, 용단, 연마, 드릴 등 화염이나 스파크를 발생하는 작업 또는 가연성물질의 점화원이 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사용하는 작업 2. 질식ㆍ.. 2022. 12. 11.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