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먹는 물 제조사(社) 안전보건 기술자료 먹는 물 제조사(社)란 통상 사용하는 자연 상태의 물(수돗물, 먹는샘물, 먹는염지하수, 먹는 해양심층수 등)을 먹기 적합하도록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사업장을 말한다. 먹는 물 제조사(社) 안전보건 기술자료 주요 공정 및 설비 공정별 주요 위험요인 및 안전보건 관리방안 [공통사항] 위험구분 세부위험요인 안전보건 관리방안 공통 ○정기교육, 채용시 교육, 특별교육,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등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미실시 ○로봇작업, 압력용기의 설치 및 취급작업, 밀폐공간작업, 지게차 작업 등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따른 특별교육 실시 ○정기교육, 채용시 교육,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실시 (교육내용은 산안법 시행규칙 별표8의 2 참고) 공통 ○기계설비 및 유해위험물질 도입에 따른 수시 .. 2023. 1. 27.
폭발위험지역의 분류와 표시 위험 지역 (Hazardous Area)은 인화성 가스 및 증기가 화재/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우려가 있는 장소를 말한다. 폭발위험지역의 분류와 표시 위험지역 등급 개념 위험지역에는 위험한 정도에 따라 위험지역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다음 그림은 인화성액체 탱크지역 구분 예이다. 먼저, 인화성액체를 저장하고 있는 탱크(Zone 0)는 항상 인화성액체가 있어 언제든 폭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위험하다. 그 다음이 탱크 Vent 출구 주변(Zone 1)에는 눈에 보이지않는 유증기가 수시로 떠다니기 때문이다. 그 다음이 탱크 주변 (Zone 2)으로 앞의 장소들보다는 덜 위험하지만, 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이렇게 같은 장소라도 누출된 인화성액체가 얼마만큼의 양과 시간으로 .. 2023. 1. 19.
화학공장의 사고 유형(K-PSR 가이드 워드) K-PSR 가이드 워드의 4가지 유형인 화재·폭발사고, 누출 사고, 공정 트러블 사고, 상해사고에 대한 메카니즘을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공장의 사고 유형(K-PSR 가이드 워드) 1. 화재 폭발 사고 - 가연성 물질의 점화에 의한 사고 - 화재와 폭발의 원인은 상호 연관성 많음 (대부분이 복합적으로 발생) - 점화원의 관리가 중요함 (전기 및 정전기 스파크, 용접작업 등) 2. 누출 사고 - 가연성 물질이 누출되면 화재, 폭발 가능성 - 독성물질 누출되면 인명피해 및 환경오염 - 특히 독성가스의 경우 ON-SITE 를 넘어서 OFF-SITE로 확대시 심각한 지역사회 피해 (BOPAL 누출사고의 교훈) 화재 폭발 누출사고 메카니즘 3. 공정트러블 사고 - 조업상의 문제 → 온도, 압력, 유량, 액위, 조성.. 2023. 1. 9.
K-PSR 비교 기존공장에 대하여 1차적 위험성 평가 (주로 HAZOP)이후 위험성평가 재실시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평가 기법을 사용하여 공정의 안전성 및 기존 위험성 평가의 유효성 검증이 필요할 때 K-PSR 기법을 사용한다. K-PSR 비교 K-PSR vs. HAZOP HAZOP 기법의 한계 - 다수의 교육받은 전문인력이 필요함 - 시간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보고서 분량이 방대함 - 시스템보다는 개별 장치 및 배관 위주로 평가함 (숲 보다는 나무를 보는 경향) - 현장 운전 및 정비 경험 미반영 – 현장부서의 무관심 (사업장과 관계없는 제 3자가 수행할 수 있음) - 재실시하더라도 평가결과가 1차와 동일하게 나옴 - 기존공장 보다 신규설비의 상세설계 단계에 효과적 K-PSR vs. HAZOP 구 분 K-.. 2023. 1.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