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분진폭발 방지 대책 분진폭발 방지 대책으로는 분진이 누출, 누적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로 설치하고, 금속이 들어가면 취급 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분리장치 또는 금속감지경보장치를 설치한다. 분진폭발 방지 대책 분진이 누출, 누적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로 설치하고, 금속이 들어가면 취급 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분리장치 또는 금속감지경보장치를 설치한다. KOSHA GUIDE D-12-2012 “분진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 및 D-16-2012 “폭발억제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에서 분진폭발을 예방하기 위한 설비는 불활성가스 봉입, 접지, 금속분리장치 등이 있으며, 분진폭발 방호장치는 분진폭발로 인한 내부압력 상승 시 분진 및 연소물을 설비 밖으로 배출시키는 폭발 압력 방산구, 분진점화를 감지하는 즉.. 2023. 3. 9.
분진폭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진폭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진이 폭발하는 용이도나 폭발의 격렬 정도, 착화의 용이성 등은 가스폭발과 같이 분진의 종류에 따라 많이 다르며 특히 분진의 물리적, 화학적 성상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분진폭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진폭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진이 폭발하는 용이도나 폭발의 격렬 정도, 착화의 용이성 등은 가스폭발과 같이 분진의 종류에 따라 많이 다르며 특히 분진의 물리적, 화학적 성상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분진폭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 1. 입경 및 입자의 분포 (1) 입경이 500 ㎛ 이상의 입자라도 설비 중에서 입자가 부서져서 분진이 발생 될 수 있다. (2) 입자의 분포도 또한 폭발에 영향을 미치며 500 ㎛ 이하의 분진이 30 %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폭발이 발생할.. 2023. 3. 9.
PSM 대상 R값 유권해석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에 별표 13에 따른 유해ㆍ위험물질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같은 표에 따른 규정량 이상 제조ㆍ취급ㆍ저장하는 설비 및 그 설비의 운영과 관련된 모든 공정설비에 대해 제출하는데 그 제출 여부를 유해ㆍ위험물질의 R값을 계산하여 판단한다. PSM 대상 R값 유권해석 PSM 대상 여부 판단 규정량(R값) 규정 별표 13에 따른 유해ㆍ위험물질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같은 표에 따른 규정량 이상 제조ㆍ취급ㆍ저장하는 설비 및 그 설비의 운영과 관련된 모든 공정설비에 대해 제출하는데 그 제출 여부를 유해ㆍ위험물질의 R값 해석 및 PSM 대상 단위공장 판단 기준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120 PSM 대상 여부 판단 R값 해석 공정안전.. 2023. 3. 8.
화재·폭발 영향 최소화 대책 체크리스트, 위험과 운전분석(HAZOP) 등과 같은 위험성 평가 결과를 통하여 화재·폭발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안전조치들 취하거나 화재·폭발 영향 최소화 대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화재·폭발 영향 최소화 대책 체크리스트, 위험과 운전분석(HAZOP) 등과 같은 위험성 평가 결과를 통하여 화재·폭발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안전조치들을 취할 수 있다. ❶ 화재·폭발 발생 방지조치 ❷ 화재·폭발 결과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방지 및 최소화 경우에 따라 위의 두 가지 가능한 조치의 조합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관리적인 조치도 병행 추진하여야 한다. 다음 내용은 화재·폭발 영향 최소화 대책이다. 1. 구조적인 안전조치 폭발.. 2023. 2.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