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 위험 지역 구분(1) 본 내용은 AP Asia Process Safety Engineer 이윤호님이 2015년 발표한 자료인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 위험 지역 구분 검토”를 소개하는 것이다. 현업 특히 전기∙전자 산업에서 근무하는 방폭 관련 Engineer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위험장소 구분(1) 폭발위험장소 국내∙외 관련 법규 및 기준 • 지속적으로 국내∙외 관련 법규, Code, Standard, Guide가 제개정되고 있으므로, 이를 현장에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 •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소방법규 등에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사업장은 상세한 산업안전보건법을 위주로 적용하고 있음. •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안전조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2023. 3. 14.
폭발위험장소 구분 관련 공식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대한 접근은 인화성 물질의 누출 시 일어날 수 있는 특성과 특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그 중에 희석을 위한 이론적 최소 환기량, 희석에 요구되는 시간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폭발위험장소 구분 관련 공식다음 내용은 대기조건에서 공기 중의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의 분포 및 희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일부 매개변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유용한 공식들이다. LFL 미만 희석을 위한 이론적 최소 환기량● 누출된 인화성 물질의 공기를 통한 희석신선한 공기의 흐름이 인화성 물질의 농도를 인화하한 값 미만으로 희석시키기 위한 이론적 최소 기량(Qa min) 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Qa min : 희석을 위해 요구되는 신선한 공기의 여론적.. 2023. 3. 12.
PSM 공정안전교육훈련 PSM 이행상태 평가시 공정안전교육에 대한 개념 정립이 잘 되어 있지 않아 지적을 받는 사례가 있어 이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 공정안전교육훈련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PSM 공정안전교육훈련 공정안전보고서의 근로자 교육계획에 공정안전교육훈련 시간을 많은 회사에서 분기 2시간 등 형식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PSM 과 관련된 내용을 PSM 대상자가 숙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나 사업장에서는 현실적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심지어 KOSHA GUIDE에서도 "공정안전교육훈련은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실시하되, 매 3년마다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라고 되어 있어 사업장에서 많은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PSM 추진을 위해 공정안전교.. 2023. 3. 12.
변경관리 종결 Check List PSM 12요소 중 변경관리에 대한 사후관리를 위하여 평소에 변경관리가 완료된 후 이를 점검하기 위한 변경관리 종결 Check 사항을 공유하고자 한다. 변경관리 종결 Check List PSM 이행상태평가 시 변경관리에 대한 지적이 많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사전에 철저한 준비 및 이행이 필요한다. 따라서 변경관리에 대한 PSM 이행상태평가 기준을 숙지하고 변경관리에 대한 사후관리를 위하여 평소에 변경관리가 완료된 후 이를 점검하기 위한 변경관리 종결 Check 사항을 아래와 같이 기술하였다. PSM 이행상태평가 기준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 다음 항목 중 적색 글씨로 표현된 내용이 해당됨. 【별표 4】세부평가항목 - 변경요소 관.. 2023. 3.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