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폭발성 가스 분위기 형성 폭발위험장소 구분(HAC,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관련 폭발성 가스 분위기(Explosive Gas Aatmosphere) 형성에 대한 개념을 공유하고자 한다. 폭발성 가스 분위기 형성 폭발위험장소 구분(HAC,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관련 누출원 모델링, 누출유량 결정에 대해서 기 포스팅한 사례가 있다. 누출원 모델링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 KOSHA GUIDE P - 92 - 2012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 https://sec-9070.tistory.com/559 누출원 모델링 사례 출원 모델링(Source term modeling)이라 함은 화재․폭발․누출 등에 의한 사고 시의 피해예측에 필요한 입력자.. 2023. 3. 16.
소량 취급시설의 폭발위험장소 구분 연구실, 분석실 등 소량의 인화성 액체를 취급하는 경우 폭발위험장소 제외가 가능한 수량을 공유하고자 한다. 소량 취급시설의 폭발위험장소 구분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을 실험실 및 분석실 등의 소량으로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시설에 대해 적용할 때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위험물질을 소량 취급하는 시설에 대한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대한 다른 국제적인 기준들을 비교하였다. 1. KS C IEC 60079-10-1:2015 규격 KS C IEC 60079-10-1 규격에서는 일시적인 누출량은 일정 수준이지만 누출될 수 있는 총량, 즉 취급량 자체가 많고 적음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즉 소량 취급시설에 대한 규정량이 없다. ● KS C IEC 60079-10-1:.. 2023. 3. 15.
비폭발위험장소 적용 국내·외 폭발위험장소 구분 관련 규격에서는 비폭발위험장소(Non-Hazardous Area)를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범위(NE, negligible extent)로 표현하고 있다. 비폭발위험장소 적용 무시할 수 있는 정도(NE)의 개념에 대한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644 무시할 수 있는 정도(NE)의 개념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을 적용할 때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공유하고자 한다. KS C IEC 60079-10-1:2015 규격 적용시 무시할 수 있는 정도(NE)의 개념에 대한 내용이다. 무시할 sec-9070.tistory.com 국내·외 폭발위험장소 구분 관련 규격에서 비폭발위.. 2023. 3. 15.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위험장소 구분(2) 본 내용은 AP Asia Process Safety Engineer 이윤호님이 2015년 발표한 자료인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 위험 지역 구분 검토”를 소개하는 것이다. 현업 특히 전기∙전자 산업에서 근무하는 방폭 관련 Engineer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위험장소 구분(2) 폭발위험장소 구분의 목적,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위험장소 구분 특성 등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639 화학물질과 폭발위험지역 구분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물성치는 분자량, 폭발하한계, 인화점, 발화점, 액체밀도, 증기밀도, 비열비, 증기압 등이 있다. 화학.. 2023. 3.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