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인화성액체 안전작업 인화성액체는 화재·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사업장에서 취급시 안전한 방법으로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인화성액체 안전작업인화성 액체 사용·취급 시 예방조치• 사용물질 대체 : 인화성이 없거나 인화점이 높은 액체 사용 • 작업장소 격리 : 인화성 액체 사용·취급 장소는 불연성 재질의 칸막이 등으로 분리• 인화성 액체 분배 및 옮겨 담기 - 누출되지 않도록 안전조치 후 실시 - 증기가 가능한 발생하지 않도록 함 - 저장·취급 용기는 쉽게 여닫을 수 있어야 함 - 용기에 화학물질 경고표지 부착 화학물질 경고표지 작성 및 부착 예시 배관·밸브·부속설비 및 이송시스템• 배관 시스템 재질은 취급물질에 저항성이 있는 것 사용• 가급적 용접에 의한 연결방법 사용•.. 2022. 12. 27.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사례(3) 사업장에서 보다 쉽게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측정결과의 유무에 따라 화학물질 위험성평가에 대한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사례(3)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있는 경우」와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없는 경우」로 구분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 노출수준등급과 유해성등급을 계산한 후 이를 조합하여 위험성 등급을 결정한다. 금번은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없는 경우」에 대한 적용사례이다. [제2방법] 측정결과가 없는 경우 위험성 추정 방법 (1) 노출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화학물질 (2) 노출기준이 미설정되어 있는 화학물질 목재가구제조업종/도장공정 사례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없고 노출기준이 설정된 도료에 대한 위험성평가 1.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대상 공정(작업) 선정 - 위험성을.. 2022. 12. 17.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사례(2) 사업장에서 보다 쉽게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측정결과의 유무에 따라 화학물질 위험성평가에 대한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사례(2)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있는 경우」와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없는 경우」로 구분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 노출수준등급과 유해성등급을 계산한 후 이를 조합하여 위험성 등급을 결정한다. 아래 사례는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있는 경우」에 대한 위험성평가이다. [제1방법] 측정결과가 있는 경우 위험성 추정 방법 인쇄업종/옵셋 인쇄공정 사례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중 혼합유기화합물에 대한 위험성평가 1.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대상 공정(작업) 선정 2. 화학물질 취급현황 파악 3. 노출수준 등급 결정 가. 직업병 유소견자(D1) 발생여부 .. 2022. 12. 17.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사례(1) 사업장에서 보다 쉽게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측정결과의 유무에 따라 화학물질 위험성평가에 대한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사례(1)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있는 경우」와 「작업환경측정결과가 없는 경우」로 구분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 노출수준등급과 유해성등급을 계산한 후 이를 조합하여 위험성 등급을 결정한다. [제1방법] 측정결과가 있는 경우 위험성 추정 방법 [제2방법] 측정결과가 없는 경우 위험성 추정 방법 (1) 노출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화학물질 (2) 노출기준이 미설정되어 있는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등급 결정 흐름도 아래 흐름도는 작업환경측정 실시 여부에 따른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방법을 단계별로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위험성평가 요약 [제1방법] .. 2022. 12. 17.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