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수소 누출 및 확산 특성 수소가스나 액화수소가 누출되었을 때 수소 누출 및 확산 특성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수소 누출 및 확산 특성 누출 특성 • 수소 가스는 다른 가스들에 비해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미세한 틈새에서도누출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취급 및 저장 시 주의가 필요 • 용기(탱크) 및 배관의 이음부위 등에서 주로 누출되기 쉬움 • 특히 밸브 본체는 물론 이음부, 안전밸브 및 압력조정기의 부착부는대표적 누출 취약 부위 • 액화수소도 분자가 작고 점도도 매우 작아서 미소한 구멍이나 미세한 간극또는 틈새를 통해 누출될 수 있음 • 특히 액화수소는 소량으로 누출되어도 대기 중에서 즉시 기체로 바뀌면서부피가 수백 배(약 800배 까지)로 커지며, 기체로 변해도 한동안 매우 낮은온도의 수소 가스로 존재 • 액화수소가 누출되면 .. 2022. 11. 29.
제조업체 사망사고 12대 기인물 50인 미만 중소 규모 제조업 현장의 사망사고는 12대 기인물에서 주로 발생한다. 사망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기인물의 종류와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한 기인물 사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제조업체 사망사고 12대 기인물 제조업 산업재해 현황 최근 5년간(2017~2021) 제조업 전체 산업재해자 11만 5,699명 중 사망자는 1,017명, 부상자는 11만 4,682명이었으며 부상자 중 90일 이상 일을 하지 못한 휴업 근로자는 6만 2,222명이었다. 50인 미만 제조업에서는 총 사망자 1,017명 중 767명, 총 부상자 11만 4,682명 중 8만 7,466명으로 총 8만 8,233명의 재해자가 발생했는데, 이것은 전체 업종 재해자 10명 중 7.6명 꼴이며, 50인 미만 제조 업체가 상대적으로 안.. 2022. 11. 29.
공정위험성평가 vs. 작업위험성평가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근로자가 사망을 했을 때 감독 기관으로부터 조사를 받게 되고, 이때 가장 먼저 요구하는 서류가 '안전작업허가서 '위험성평가 결과'이다. 공정위험성평가 vs. 작업위험성평가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위험성평가와 관련된 법규는 다음과 같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① 사업주는 건설물, 기계ㆍ기구ㆍ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근로자의 작업 행동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한 유해ㆍ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를 평가하여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하며, 근로자에 대한 위험 또는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2022. 10. 24.
사전 작업허가제 사전 작업허가제(PTW, Permit to work)는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착수 전 작업 내용과 안전조치 등에 대한 작업허가서를 작성해 허가권자에게 승인받도록 하는 안전관리 방법이다. 사전 작업허가제 국토교통부는 ‘건설안전 혁신방안’을 발표하며 그동안 공공부문의 고소작업, 굴착·가설공사, 철골 구조물 공사, 도장 공사 등에서 시행하고 있던 작업허가제를 민간공사까지 확대.적용토록 권고하고, 감리업무지침을 개정해 의무화할 것을 규정하였다. 위험성평가 vs. 작업허가제 작업허가제와 같은 맥락으로 시행하고 있는 안전관리 방안은 고용노동부의 위험성평가를 꼽을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위험성평가 절차에는 작업 허가제가 내재되어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에 명기된 위험성평가는 .. 2022. 10.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