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사망사고 12대 기인물
50인 미만 중소 규모 제조업 현장의 사망사고는 12대 기인물에서 주로 발생한다. 사망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기인물의 종류와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한 기인물 사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제조업체 사망사고 12대 기인물 제조업 산업재해 현황 최근 5년간(2017~2021) 제조업 전체 산업재해자 11만 5,699명 중 사망자는 1,017명, 부상자는 11만 4,682명이었으며 부상자 중 90일 이상 일을 하지 못한 휴업 근로자는 6만 2,222명이었다. 50인 미만 제조업에서는 총 사망자 1,017명 중 767명, 총 부상자 11만 4,682명 중 8만 7,466명으로 총 8만 8,233명의 재해자가 발생했는데, 이것은 전체 업종 재해자 10명 중 7.6명 꼴이며, 50인 미만 제조 업체가 상대적으로 안..
2022. 11. 29.
공정위험성평가 vs. 작업위험성평가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근로자가 사망을 했을 때 감독 기관으로부터 조사를 받게 되고, 이때 가장 먼저 요구하는 서류가 '안전작업허가서 '위험성평가 결과'이다. 공정위험성평가 vs. 작업위험성평가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위험성평가와 관련된 법규는 다음과 같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① 사업주는 건설물, 기계ㆍ기구ㆍ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근로자의 작업 행동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한 유해ㆍ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를 평가하여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하며, 근로자에 대한 위험 또는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2022.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