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방폭 전기/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시 폭발위험장소에 방폭 전기/계장기계・기구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금번에는 방폭 전기/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에 대한 작성 예시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방폭 전기/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 1. 일반 요구사항 (1) 폭발위험장소에 설치되는 전기/계장기계·기구(이하 "전기기기"라 한다)는 일반형 전기기기의 설치 요구사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그러나, 비폭발위험장소의 요구사항은 폭발위험장소용으로 설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2) 전기기기의 적절한 선정 및 설계를 위하여 폭발위험장소를 KOSHA GUIDE E-180-2020(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에 따라 가스·증기 및 미스트 지역을 0종, 1종 및 2종장소로 등급을 구분한다. (3) 전기기기는 가능한 한 비폭발위.. 2022. 9. 17. 안전규격 ISO13849-1 ISO13849-1의 규격은 정의된 리스크의 레벨에 기초하여, 기계제어 시스템 안전 관련부의 설계와 구성이, 그 기계의 위험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지를 확실하게 하는 규격이다. 안전규격 ISO13849-1 유럽에서는 기계지령의 정합규격이 되며, 적합하지 않은 설비는 EU권내에서 유통될 수 없게 된다. 일본에서도 이 안전개념을 받아들여 국제표준에 따르는 형태로 안전 구축을 하도록 되어 있다. ISO13849-1의 안전규격이 2011년 12월 이후 글로벌하게 전개된다.각국의 규격에도 적용되어 간다. 1. 위험율 평가(위험도 분석) 순서 ● 리스크 분석과 리스크 저감 기계 또는 프로세스의 설계 책임자는 필요한 안전규격, 규제에 적합한 설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우선 ISO14121(J.. 2022. 9. 13. 화학물질 위험성 추정 보건분야 (화학물질, 근골격계부담작업 등) 위험성 추정 및 결정 방법에서 금번에는 화학물질 위험성 추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물질 위험성 추정 사업주가 스스로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하여 감소대책을 수립・실행토록 하는 위험성평가가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로 법제화됨에 따라 위험성평가 실시에 필요한 세부 기준을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부 고시 제2012-104호)으로 규정화 시행하고 있다. 위험성 추정 방법 “위험성”이란 유해ㆍ위험요인이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조합한 것을 의미한다. “위험성 추정”이란 유해ㆍ위험요인별로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중대성의 크기를 각각 추정하여 위험.. 2022. 8. 30. SIF 고위험요인 위험성 파악 개요 SIF(Serious Injury & Fatality) 위험성 파악이란 사망 및 중상해 재해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위험작업/상황(Potential) 및 재해유발요인 (Precursor)에 집중하여 재해예방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SIF 고위험요인 위험성 파악 개요 SIF 개요 1. 기존 위험성평가 ⊙ 사업장 스스로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체제 구축에 집중하여 사망사고 예방을 위한 직접적인 기술지원은 미흡하였음 → 치명적인 중상해 이상 재해의 유해·위험요인 발굴 및 개선에 집중하여 사망사고 예방 연계성 강화 필요 2. SIF 위험성 파악 ⊙ 사망 및 중상해 재해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위험작업/상황(Potential) 및 재해유발요인 (Precursor)에 집중한 재해예방활동 → 모든 사고가 중.. 2022. 8. 25.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