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유기용매 드레인 작업 중 화재 공정내 밀폐상태 배관에서 유기용매를 외부 용기에 드레인 시 화재가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예방대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기용매 드레인 작업 중 화재 정비 작업 등 목적으로 공정 배관 내 유기용매(n-Hexane)를 비울 필요가 있을 경우, 보통 외부 용기(그림 1 참조)로 드레인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화재가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예방대책을 공유하고자 한다. 노말헥산(n-Hexane) 주요 물성 외부 용기 명세 화재 발생 용기 작업 개략도 아래 그림과 같이 지상에서 1.6m 상부의 공정 배관 밸브로 부터 외부 용기로 유기용매(n-Hexane)를 배출하는 드레인 작업의 경우 발생된 화재 사고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드레인 위치와 용기 간 낙차 사고 원인 분석 1. 정전기에.. 2022. 8. 3. 유지보수 방법의 개선 유지보수 방법의 개선은 기기 및 설비에서 발생한 문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하는데 시작되어야 한다. 장애 분석의 목표는 주요 기기의 장애 원인을 찾아내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 발생의 원인 패턴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한데, 금번 장애 발생 빈도가 높은 4개 원인으로 정리한 것을 공유하고자 한다. 유지보수 방법의 개선 장애 분석이 필요한 이유 장애분석의 목표는 기업 업무에 투입된 대상 기기의 특정 부위나 기능의고장 (특히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장애 및 장애 발생 시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을 일으킨 원인을 찾아내고, 찾아낸 원인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 조치를 수행하는 것이다. 장애분석은 목표는 이 두 가지를 잘 연동해서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데 있다. ● 장애 발생의 원인 .. 2022. 8. 2.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점검·검사·정비·교체작업 우수사례 본 사례는 KOSHA 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관리실태 우수사업장의 점검·검사·정비·교체작업 등에 대한 우수사례로서, 화재·폭발·누출 등 대형 화학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노후 화학설비 보유 사업장에서 참고할 수 있다.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점검·검사·정비·교체작업 우수사례 1. 사업장 개요 대산 석유화학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 현대오일뱅크(주) 대산공장은(PSM 대상) 1989년 설립되어 석유류 제품, BTX 및 윤활기유을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약1,100명이 근무하고 있음. 설비점검·정비의 기본방침은 신속한 일반정비 및 점검을 통한 예방정비율 향상과 예방정비체계 최적화를 통해 공정안전 및 기업가치 극대화에 있음 * 예방정비(PM) : Preventive Maintenance * 신뢰도.. 2022. 7. 26. 위험성평가와 안전대책 현장에서 발견된 위험에 대해서는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를 통하여 사고가능성과 재해중대성을 판정하여 이를 근거로 안전대책을 마련하여 사고방지와 재해예방을 실현할 수 있다. 위험성평가와 안전대책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 “위험통제를 통한 안전의 접근방법”은 발생한 재해를 근거로 하는 결과관리가 아니라 예상되는 재해를 예방하는 예측관리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관리의 목표가 되는 예측지수를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위험성(Risk; combination of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harm and the severity of that harm, ISO/IEC Guide 51:1999)」이라는 변수가 바로 이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위험통제.. 2022. 7. 25.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