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점검·검사·정비·교체작업 우수사례 본 사례는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관리실태 우수사업장의 점검·검사·정비·교체작업 등에 대한 롯데케미칼(주) 여수공장 우수사례로서, 노후 화학설비 보유 사업장에서 화재·폭발·누출 등 대형 화학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공유하고자 한다. 점검·검사·정비·교체작업 우수사례 압력용기(반응기, 혼합기, 증류탑, 저장탱크 등) ❍ 개 요 - RBI(위험도기반검사 : Risk Based Inspection)을 활용하여 공장설비 위험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위험등급을 결정하고, 위험정도에 따라 점검·검사주기를 차등 적용하여 관리 - 정기보전계획을 수립하여 사전 계획관리를 통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제공 - 점검 및 정비에 관한 기록 유지관리를 통하여 설비 이력 관리 ❍ 설비관리 우수사례 - RBI(위험도기반검사 : Risk .. 2022. 6. 12.
화학설비 등 사용 전의 점검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는 처음 사용하거나, 보수 또는 일정기간 이상 정지 후 재사용할 경우에 사용 전  안전검사내용을 점검한 후 해당 설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화학설비 등 사용 전의 점검 관련 법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7조(사용 전의 점검 등)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안전검사내용을 점검한 후 해당 설비를 사용하여야 한다.1. 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2. 분해하거나 개조 또는 수리를 한 경우3. 계속하여 1개월 이상 사용하지 아니한 후 다시 사용하는 경우② 사업주는 제1항의 경우 외에 해당 화학설비 또는 그 부속설비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사용하는 원재료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도 해당 설비의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점.. 2022. 6. 11.
12대 사망사고 기인물과 재해 예방 대책 건설 현장의 사망사고는 대부분 건축·구조물에 의해 발생한다. 건설 현장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구조물은 단부·개구부, 철골, 지붕, 비계·작업발판, 사다리, 달비계, 이동식 비계, 달비계, 거푸집·동바리 등이다. 12대 사망사고 기인물과 재해 예방 대책 기인물 사고 현황 건설 현장의 사망사고는 대부분 건축·구조물에 의해 발생한다. 건설 현장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구조물은 단부·개구부, 철골, 지붕, 비계·작업발판, 사다리, 달비계, 이동식 비계, 달비계, 거푸집·동바리 등이다. 공사 금액 1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의 중소 규모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를 살펴보면 건축·구조물에서 발생한 떨어짐 사고는 단부·개구부(51명, 9.0%), 철골(48명, 8.5%), 지붕(40명, 7.1%), 비계·작업발.. 2022. 6. 4.
연구실 사고분류 체계 박교식교수님의 연구 논문인 연구실 사고분류 체계 개발을 참고로 사고의 원인분석에 대한 접근 방법을 공유하고, 특히 중대사고로 이어질 사고에 대해 사고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받기를 희망한다. 연구실 사고분류 체계 서 론 최근 들어 연구실에서는 가연성 증기나 인화성 가스가 연구실 내에 누출 인화되어 화재 폭발 사고가 발생하는 등 유사사고가 반복되어 이를 체계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고원인은 실험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의식 부재, 설비 및 유지관리의 불충분, 연구실 기능의 미비, 협소한 실험공간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연구실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연구실에 대한 주기적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을 통해 과학기술 연구ㆍ개발활동 활성화를.. 2022. 6.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