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용융도금업 유해·위험요인 용융도금업 사업장에서 산, 중금속, 시안화물과 같은 유해한 화학물질을 다량 사용하고, 작업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건강장해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업종이다. 용융도금업 유해·위험요인 용융도금업 사업장에서 산, 중금속, 시안화물과 같은 유해한 화학물질을 다량 사용하고, 작업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건강장해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업종이다. 이 때문에 용융아연도금 공정의 산 세척조 및 플럭스조에서 사용하는 염화수소, 황산화물, 아연 미스트 등 가스상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흡수탑 방식의 공기정화장치와 함께, 도금조에서 발생하는 입자상 물질인 아연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식 공기정화장치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용융도금업 사업장은 작업 특성상 대형 피도금물을 취급하기 위해 크레인과 달기 기구 및 줄걸이 용구.. 2022. 3. 29.
탈지조 안전작업 탈지(Degreasing)란 피도금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유지성분을 알칼리성 수용액에서 침적 분리하는 방식이나 소둔 로에서 태우는 방식 또는 간단한 작업은 세척제를 사용해서 수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탈지조 안전작업 소재 표면에는 가공 시 사용되는 절삭유 등의 유지류, 일시적인 부식방지를 위해 도포된 방청유, 니스 등이 부착되거나 유성매직 등의 표기사항이 남아 있고, 이러한 유지류는 다음 공정인 산세 작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완전한 제거가 필요하다. ● 탈지방법에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는 알칼리 탈지가 일반적이며 경제적이다. 국내에서의 알칼리 탈지액은 주로 가성소다를 사용하며, 가성소다(NaOH)와 규산소다(Na2O.nSiO2)의 혼합액이 사용되는 경.. 2022. 3. 27.
플럭스 조 안전작업 플럭스(Flux) 처리는 피도금물 표면의 불순물 및 염기성철염 제거, 수산화물 용해 제거 및 도금 반응의 활성화를 위해 표면에 피막을 입히는 작업으로 용제처리 또는 화성처리라고도 한다. 플럭스 조 안전작업 플럭스 조는 원료의 밀착성과 균일성을 향상시켜 도금이 용이하도록 아연도금의 경우는 염화아연(ZnCl2)과 염화암모늄(NH4Cl) 혼합 용액을 사용하며, 조 내의 온도유지는 아연을 용융시키고 배출되는 고온가스 또는 열풍 등을 이용하여 50℃~80℃, 침전시간 : 5분 정도 침전한다. 플럭스 조 작업 전경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225조 (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 시의 조치) - 제239조 (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의 화기 등의 사용금지) - 제420조 (정의)~제451조 (보호복 .. 2022. 3. 27.
화재 및 폭발 산업재해 석유화학산업에서는 화학공장 특성 상 화재와 폭발 등의 발생 위험이 높다. 화재 및 폭발 산업재해 우리나라의 석유화학산업은 세계 시장에서 무시하지 못할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산업은 장치산업으로 규모의 경제에 따라 대형화되고 있으며 규모가 증가하는 만큼 국가의 경제발전에 이바지하는 부분이 상당하다. 그러나, 산업재해 측면에서 석유화학산업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석유화학산업은 타 업종과 달리 건설하는 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규모 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 집약적 장치 산업이다. 또한 대부분 구조가 복잡한 자동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설계·운전, 보수·유지에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화학물질을 대량 저장 · 취급하고 있다. 이러한 업종 특성으로 .. 2022. 3.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