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에서는 화학공장 특성 상 화재와 폭발 등의 발생 위험이 높다.
화재 및 폭발 산업재해
우리나라의 석유화학산업은 세계 시장에서 무시하지 못할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산업은 장치산업으로 규모의 경제에 따라 대형화되고 있으며 규모가 증가하는 만큼 국가의 경제발전에 이바지하는 부분이 상당하다.
그러나, 산업재해 측면에서 석유화학산업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석유화학산업은 타 업종과 달리 건설하는 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규모 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 집약적 장치 산업이다. 또한 대부분 구조가 복잡한 자동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설계·운전, 보수·유지에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화학물질을 대량 저장 · 취급하고 있다. 이러한 업종 특성으로 인해 석유화학산업에서는 화재와 폭발 등의 발생 위험이 높다.
산업재해 현황 분석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현황 분석자료에 따르면 2019년 산업재해로 인한 재해자 수는 109,242명이며, 이 중 화재 및 폭발에 의한 재해자 수가 전체 재해자 수의 0.45%(490명)를 차지한다. 산업재해 중 업무상 사고로 범위를 좁혀보면, 화재 및 폭발에 의한 재해자 수는 모두 업무상 사고로 분류되었으며, 전체 업무상 사고로 인한 재해자 수(94.047명)의 0.52%를 차지한다. 사망재해로 그 범위를 좁혀보면, 화재 및 폭발로 인한 재해가 수반하는 결과의 강도를 알 수 있는데, 전체 사망 재해자 수(2,020명)의 1.83%(37명)가 화재 및 폭발에 의해 사망하였으며, 제조업 사망 재해자 수(492명)의 3.86%(19명)가 화재 및 폭발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재 및 폭발에 의한 산업재해는 재해의 빈도는 낮을 수 있으나 그 강도는 높아 사고가 발생할 경우 중대산업사고 등 대형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유해 위험물질의 화재·폭발 및 누출로 인한 대형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사회문제가 되기도 한다.
화학공장 특징
화학공장에서는 원료를 화학적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거쳐 제품을 얻게 된다. 따라서 화학공업에서는 물질의 이송, 분리, 가열, 혼합, 분쇄, 침강, 추출, 흡수 등 여러 가지 단위조작과 반응공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작이나 반응을 위하여 물질의 이송설비, 분리설비, 열교환설비, 반응설비, 혼합 및 교반설비, 추출, 흡수 및 흡착, 건조설비, 분쇄설비 등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화합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반응 또는 혼합, 분리, 저장, 계량, 열교환, 성형 또는 가공, 분체 취급, 이송 또는 압축 등에 필요한 장치, 기계·기구 및 이에 부속하는 설비(배관, 계장, 제어, 안전장치 등)를 화학설비라 한다. 화학설비는 대부분 구조기 복잡하고 정밀하며, 고도의 자동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설계 및 운영에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 설비는 각종 유해·위험물질 및 대량의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보유하고 있어서 일단 이상이 발생하여 사고가 일어나면 그 영향이 커서 피해가 엄청나고 환경을 오염시킬 수도 있다. 띠라서 화학설비 운전은 그 위험을 정확히 평가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에 실시해야 한다.
산업재해 예방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현상적으로 보이거나 잠재된 위험을 조기에 발굴해 제거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은 작업 전 안전점검, 작업 중 안전수칙 준수, 작업 후 정리·정돈과 같은 기본에 충실해야 확보된다.
첫째, 모든 위협은 사람과 기계·설비 및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며, 이것을 찾아내 개선하는 안전활동을 생활화해야 한다.
둘째, 모든 근로자가 작업안전수칙을 준수함으로써 불안전 행동을 하지 않도록 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위험 공정 개선, 방호장치 설치 및 보호구 지급, 근로자건강 보호 등에 효율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인전·보건에 대한 투자는 경비가 아니며, 장기적으로 손실을 최소회해 이윤으로 돌아오게 된다.
넷째, 원·하청 업체 근로자가 동일 작업장에서 분업 형태로 작업에 투입되는 점을 고려하여 협력업체에 대해 총괄적으로 안전·보건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안전보건교육, 안전점검 등 모든 현장 중심 안전관리활동을 원·하청 구분 없이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직의 모든 구성원이 안전제일을 생활화하는 안전문화가 정착되지 않으면 안전관리는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사업주는 안전·보건을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삼아 이를 경영시스템으로 정착시켜 직원의 안전을 보장하고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여야 한다.
또한, 근로자는 사업장 내 안전·보건활동에 지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하고, 관리감독자와 안전·보건 관계자는 전문가적 식견을 가지고 안전점검, 안전·보건교육실시와 협력업체 안전·보건관리 지원 등 현장 안전·보건관리를 주도해야 한다.
'공정 및 화공안전 > 위험성평가 및 사고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지조 안전작업 (0) | 2022.03.27 |
---|---|
플럭스 조 안전작업 (0) | 2022.03.27 |
Boiler Safety(보일러 안전) (0) | 2022.01.18 |
보일러 사고예방 (0) | 2022.01.17 |
작업장 화학물질의 평가 (0) | 2021.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