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KGS GC101(2018) 규격 KGS GC101 2018 (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에 관한 기준) 규격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및「도시가스사업법」의 적용을 받는 가스시설 주변에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폭발위험장소의 종류의 구분 및 범위산정의 방법에 대하여 적용한다. KGS GC101(2018) 규격 KGS GC101(2018)[33] 규격은 기본적으로 IEC 60079-10-1:2015 규격을 번역하여 작성한 것이므로 KS C IEC 60079-10-1:2015와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KGS GC101(2018)의 1.3항(다른 기준의 인정)에서 “KS C IEC 60079-10-1:2015에 따라 폭발위험장소의 등급 및 범위를 설정한 경우에는 이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2022. 3. 5. 가스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관한 규격의 비교 가스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관한 규격에는 KS C IEC 60079-10-1:2015 , KGS GC101 , API RP 505 , NFPA 497 , EI 15 , IGEM/SR/25 등이 있어 이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가스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관한 규격의 비교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은 기본적으로 액체 또는 가스의 누출률을 계산하는 점누출원 접근법을 적용하고 있다. 다양한 누출원에 대한 누출률을 계산하고, 누출 특성을 구한 다음 환기속도 및 누출형태에 따라 도표를 사용하여 폭발위험장소를 구하도록 되어 있다. KGS GC101 규격은 기본적으로 KS C IEC 60079-10-1:2015 규격과 동일한 개념이다. API RP 505 규격은 설비의 종류 또는 공.. 2022. 3. 5. KS C IEC 60079-10-1:2015 적용상 문제점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을 사용하여 폭발위험장소를 구분할 때 발생되는 여러 가지 사항들에 대한 문제점들을 검토한 조필래 한국교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KS C IEC 60079-10-1:2015 적용상 문제점 KS C IEC 60079-10-1:2015 규격 해석 및 적용방법과 관련된 사항으로는 적용범위에 대한 해석 문제, 누출 특성(X)의 하한값 미만에서의 적용 문제,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범위(negligible extent, NE)의 적용 문제, 누출면적의 선정 문제, 증발률 계산 문제, 환기등급 결정 및 폭발위험장소의 거리 산정 문제, 환기속도와 폭발위험장소의 거리의 상관문제, 소량 취급시설의 폭발위험장소 구분 문제, 국내규격의 제정 및 운영과 관련된 .. 2022. 3. 2. Boiler Safety(보일러 안전) 보일러시 및 보일러 자체에 대한 유해위험요인과 사고예방대책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Boiler Safety(보일러 안전) 보일러 관련 유해위험요인 보일러실에 존재하는 유해위험요인으로는 다음과 같다. - 폭발 위험성(Risk Of Explosion) - 고압증기(High Pressure Steam) - 연소 가스(Combustion Gases) - 화학물질(Chemicals) - 기계의 움직임(Moving Machinery) - 뜨거운 표면(Hot Surfaces) 또한 보일러 자체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위험에는 네 가지 주요 범주가 있다. 1. 녹아내림(Melt down) 이는 보일러가 매우 낮은 수위 조건에서 작동할 경우 가열 표면 금속이 융점에 도달하여, 그 자체로 폭발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보일러에 .. 2022. 1. 18.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