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폭발위험장소의 결정 다음은 산안법 및 고압법, 액화석유가스법, 도시가스법의 적용을 받는 인화성 액체 및 가스시설 주변에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폭발위험장소의 종류의 구분 및 범위산정을 위해 필요한 내용이다. 금번은 위험장소의 결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폭발위험장소의 결정 폭발위험장소구분 기본기준 1. 위험장소구분의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다. (1) 폭발성가스분위기의 존재 가능성이 있는 장소를 위험장소라고 하고, 위험장소는 0종장소, 1종장소 및 2종장소로 구분한다. (2) 일반적으로 위험장소는 누출등급에 의하여 구분된다. 충분히 환기가 되는 장소(개방 지역에 설치된 플랜트)의 경우 연속누출등급은 0종장소, 1차누출등급은 1종장소 및 2차누출등급은 2종장소로 구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희석등급 및 환기유효성에 따라.. 2021. 12. 11.
희석등급의 결정 다음은 산안법 및 고압법, 액화석유가스법, 도시가스법의 적용을 받는 인화성 액체 및 가스시설 주변에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폭발위험장소의 종류의 구분 및 범위산정을 위해 필요한 내용이다. 금번은 희석등급의 결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희석등급의 결정 희석등급구분 기본기준 1. 희석등급구분의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다. (1) 환기에 의하여 폭발성가스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지만, 형성된 폭발성가스분위기가 지속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누출유량 대비 환기량이 클수록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는 작아지고 폭발성가스분위기의 지속시간은 짧아진다. 누출유량 대비 환기효과성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폭발위험장소의 범위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아지므로 비폭발위험장소으로 간주할 수 있다. (3) 공기가 실.. 2021. 12. 11.
누출유량의 결정 다음은 산안법 및 고압법, 액화석유가스법, 도시가스법의 적용을 받는 인화성 액체 및 가스시설 주변에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폭발위험장소의 종류의 구분 및 범위산정을 위해 필요한 내용이다. 금번은 누출유량의 결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누출유량의 결정 누출률 매개변수 (1) 누출 특성 및 형태(Nature and type of release) 이는 개방 표면, 플랜지 누설 등과 같은 누출원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것이다. (2) 누출 속도 ① 누출원에서의 누출률은 누출압력에 따라 증가한다. 아음속(음속 이하)누출에서 누출속도는 공정 압력과 관련된다. ②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운의 크기는 인화성 증기 누출률과 희석률에 의하여 결정된다. ③ 고속으로 누출되는 가스와 증기 흐름은 공기에 혼합되어 자체적으로 희석될.. 2021. 12. 10.
누출 홀 크기의 결정 다음은 산안법 및 고압법, 액화석유가스법, 도시가스법의 적용을 받는 인화성 액체 및 가스시설 주변에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폭발위험장소의 종류의 구분 및 범위산정을 위해 필요한 내용이다. 금번은 누출 홀 크기의 결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누출 홀 크기의 결정 누출 홀 크기 결정 기본기준 1. 누출 홀 크기 결정의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다. (1)“누출 홀 크기”란 가연성가스의 누출이 일어나는 홀(hole)의 단면적을 말한다. (2) 누출 홀 크기는 가연성가스의 누출유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누출유량은 위험장소종류 및 위험장소범위를 결정하는데 반영되므로 누출 홀 크기는 어떤 시스템의 누출특성을 검토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3) 누출유량은 누출 홀 반경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누출 홀 반경이 과소하.. 2021. 1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