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2 제어실의 위치선정 및 설계 “제어실(Control room)”이라 함은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또는 공정설비 등을 원격으로 조정․감시할 수 있는 장치를 한 장소에 모아놓은 곳을 말한다. 제어실의 위치선정 및 설계 안전보건규칙 [별표 1] “위험물질의 종류” 중 제4호 인화성 액체 또는 제5호 인화성 가스에 의한 화재 또는 개방계증기운폭발 및 제7호 급성독성물질에 의한 중독 위험을 갖고 있는 설비 주위에 제어실 등을 신규로 설치하는 경우의 제어실의 위치선정 및 설계는 다음과 같다. 제어실 위치 (1) 제어실 위치는 폭발위험장소가 아닌 안전한 장소에 위험성 및 운전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독성물질의 누출에 의한 중독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독성물질을 취급하는 공정지역의 밖에 설치하여야 한다. “공정지역(Process area).. 2021. 9. 22. 압력용기 안전검사 기준 압력용기 안전검사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안전 관련 법령별 검사주기가 상이하여 산안법, 고압가스법, 에너지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압력용기 안전검사 기준 압력용기 검사 관련법 비교 구분 산업안전보건법 에너지이용합리화법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적용기준 모든 압력용기에 적용 (에너지, 고압법 적용 용기 제외) 열(스팀)을 사용하는 압력용기에 적용 (고압법 적용 용기 제외) 고압가스(액화가스 포함)를 사용하는 압력용기에 적용 압력용기에 법령별 적용범위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12 압력용기 적용기준 및 검사기준 압력용기(PRESSURE VESSEL)는 관련 법규 마다 적용기준 및 검사기준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사업장에.. 2021. 9. 20. 활성탄 흡착탑(A/C tower) 설계 사례 국소배기장치 설계에 있어서 후드의 형태별 배풍량, 제어풍속, 반송속도 등에 관한 설계 및 계산근거를 제시하여야 하는데, 다음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국소배기장치 관련 활성탄 흡착탑(A/C tower) 설계 사례이다. 활성탄 흡착탑(A/C tower) 설계 사례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및 압력손실 설계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396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및 압력손실 설계 공기정화장치 유무 및 흡인된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배풍기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는 후드, 덕트, 공기정화장치, 배풍기 및 배기구의 순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sec-9070.tistory.com ❍ 설계 기초 자료 a) 명칭 : 흡착에 의한 실설 b).. 2021. 9. 7. 압력손실 설계 및 배풍기 용량 계산 사례 국소배기장치 설계에 있어서 후드의 형태별 배풍량, 제어풍속, 반송속도 등에 관한 설계 및 계산근거를 제시하여야 하는데, 다음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국소배기장치 관련 압력손실 설계 및 배풍기 용량 계산 사례이다. 압력손실 설계 및 배풍기 용량 계산 사례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및 압력손실 설계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396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및 압력손실 설계 공기정화장치 유무 및 흡인된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배풍기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는 후드, 덕트, 공기정화장치, 배풍기 및 배기구의 순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sec-9070.tistory.com 1) 후드-덕트 압력손실 계산 가) 후드 압력손실 Hood 유입.. 2021. 9. 7. 이전 1 ··· 93 94 95 96 97 98 99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