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 기술/계산사례(ENG)

활성탄 흡착탑(A/C tower) 설계 사례

by yale8000 2021. 9. 7.

국소배기장치 설계에 있어서 후드의 형태별 배풍량, 제어풍속, 반송속도 등에 관한 설계 및 계산근거를 제시하여야 하는데, 다음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국소배기장치 관련 활성탄 흡착탑(A/C tower) 설계 사례이다.

 

제목

 

 

활성탄 흡착탑(A/C tower) 설계 사례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및 압력손실 설계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396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및 압력손실 설계

공기정화장치 유무 및 흡인된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배풍기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는 후드, 덕트, 공기정화장치, 배풍기 및 배기구의 순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sec-9070.tistory.com

 

❍ 설계 기초 자료

a) 명칭 : 흡착에 의한 실설

b) 형식 : 활성탄(A/C) 흡착

c) 수량 : 550/min × 1

d) 외형규격 : 2,440W × 3,505L × 2,575H

e) 설치위치 : 도장작업장 건물 뒤편

f) 설계풍량 : 550/min

 

 

❍ 방지시설 설계

- 유효단면적(A) : 탑내 공탑유속을 30m/min(0.5m/sec)으로 선정

식

= 18.33

- 활성탄 접촉시간(t) = 1sec 이상

- 유효면적(Vq) : 접촉시간 1초를 유지하기 위한 활성탄 최소 충진체적

식

= 9.17

- 설계체적(VD) : 2,440W × 3,050L × 420H × 3= 9.4

- 실제 활성탄 접촉시간(tD) : 1sec 이상

식

= 0.017min = 1.02sec

- 설계단면적(AD) : 2,440mm × 3,050mm × 3= 22.3

- 충진물층 높이(H) = 420H × 3

 

 

❍ 활성탄 교체주기 산정

- 흡착제 충진밀도 = 500kg/

- 실제 활성탄 용량(Q') = 2.44 × 3.05 × 0.42 × 3 = 9.4

- 활성탄 중량(kg) = 9.4× 500kg/= 4,700kg

- 활성탄 교체주기(T)

 

식

= 248.6 hr

 

여기서..
T : 활성탄 교체주기(hr)
S : 활성탄에 대한 흡착율(0.25)
W : 사용된 활성탄의 무게(4,700kg)
F : 흡착효율(70%)
G: 활성탄상(Bed)에 유입되는 오염물질 농도(287.7ppm)
M : 오염물질의 분자량(메탄기준 16)
Q : 풍량(550/min)

 

T = 148.6hr = 35.5

17시간 가동시 35일마다 활성탄을 교체하여야 함

 

Reference : KOSHA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 예시집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