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2 후드 배풍량 계산 사례 국소배기장치 설계에 있어서 후드의 형태별 배풍량, 제어풍속, 반송속도 등에 관한 설계 및 계산근거를 제시하여야 하는데, 다음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국소배기장치 관련 후드 배풍량 계산 사례이다. 후드 배풍량 계산 사례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및 압력손실 설계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396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및 압력손실 설계 공기정화장치 유무 및 흡인된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배풍기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는 후드, 덕트, 공기정화장치, 배풍기 및 배기구의 순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sec-9070.tistory.com 1) 후드 1 ❍ 공정명(단위작업명) : 도금작업 ❍ 후드번호 : H-1 ❍ 후드형식 : 외부식 다.. 2021. 9. 7. 위험물 저장탱크 안전장치 위험물을 저장하는 탱크는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해 여러 안전장치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금번 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위험물 저장탱크 안전장치 위험물 저장탱크는 설계 시 한국산업규격, 미국의 API STD 650, 620, 영국표준 2654 등에 근거하여 설계하고 있고 상압저장탱크에 대한 개요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406 상압저장탱크 종류 및 안전장치 위험물을 저장하는 탱크는 NFPA 30에 따라 상압저장탱크(Atmospheric storage tank), 저압저장탱크(Low pressure storage tank) 및 압력저장탱크(Pressure storage tank)로 구분된다. 이중 상압저장탱크는 탱크 상부의 sec-9070.t.. 2021. 9. 5. 통기관과 긴급통기설비 크기 계산 상압저장탱크에는 과압 이나 진공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나 흡기를 위한 통기관이 필요하다. 저번 포스팅에서 계산한 배기량 및 흡기량으로 부터 통기관과 긴급통기설비의 크기 계산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상압저장탱크 통기관과 긴급통기설비 크기 계산 과압이나 진공의 주요 원인은 로딩(하역)/언로딩(출하)에 의한 액체의 유입/배출과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 외부화재 등이 있다. 외부화재의 경우에는 통기관으로는 충분히 배출할 수 없으므로 긴급통기설비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통기관과 긴급통기설비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서 액체의 이동, 온도변화에 따른 배기량 및 흡기량과 외부화재에 의한 배기량을 계산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계산식과 계산 사례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 2021. 9. 4. 배기량 및 흡기량 계산 상압저장탱크에는 과압 이나 진공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나 흡기를 위한 통기관이 필요하다. 금번 통기관 등 설계를 위한 배기량 및 흡기량 계산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상압저장탱크 배기량 및 흡기량 계산 과압이나 진공의 주요 원인은 로딩(하역)/언로딩(출하)에 의한 액체의 유입/배출과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 외부화재 등이 있다. 외부화재의 경우에는 통기관으로는 충분히 배출할 수 없으므로 긴급통기설비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통기관과 긴급통기설비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서 액체의 이동, 온도변화에 따른 배기량 및 흡기량과 외부화재에 의한 배기량을 계산하여야 한다. 로딩작업과 온도변화에 의한 배기량 계산식 배기량은 로딩작업에 의한 배기량과 온도변화에 의한 배기량을 계산한 후 합산하여 구할 수 있다... 2021. 9. 4. 이전 1 ··· 94 95 96 97 98 99 100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