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12

접지 개요 관리 소홀에 의한 감전 사고나 정전 사고는 상당한 인적·물적 피해를 양산하고, 산업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다. 접지(Earthing)는 이러한 감전 및 정전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사람 또는 기계를 지키기 위한 예방책 중의 하나이다. 접지 개요 접지(接地) 또는 지락(地絡)[그라운드(Ground), 란 전로의 중성점 또는 기기외함 등을 접지극에 접지선으로 대지와 연결하는 것으로 전기, 통신, 설비 등과 같은 접지대상물을 대지(땅)와 낮은 저항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 전압 발생시에도 고장 전류를 표면 전위가 영전위인 대지로 흘려보내, 같은 전위로 유지하여 기기와 인체를 보호한다. 접지의 목적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을 사용하면 경우에 따라 유도전류, EMI(electromagnetic.. 2021. 10. 3.
전류 사고 및 보호장치 전기 화재를 일으켜 재산과 인명 피해를 끼치는 요인으로 누전과 지락 등이 있는데 금번 그로 인한 사고의 종류와 보호장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전류 사고 및 보호장치 사고전류의 종류와 특징 지락사고 - 1선 지락전류 (누설전류) 선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전류(고장전류)의 형태로, 단상 또는 3상 선로 중에서 임의의 한 개의 선로가 사람, 나무 등에 접촉되어 대지와 연결(접지)되어서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나무에 의한 1선 지락전류 발생 사람에 의한 1선 지락전류 발생 단락사고 - 선간단락 전류 3선 중 두 개의 선이 단락(합선)되어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선간 단락 전류 예시 ● 단락(短絡, short-circuit) 단락은 ‘쇼트’와 ‘합선’의 다른 명칭이다. 단락의 ‘단’은 끊을 단(斷)이 .. 2021. 10. 2.
간선 및 분기회로 전기방식 전기를 이해하기 위해 간선 및 분기회로의 개념과 이에 대한 전기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간선 및 분기회로 전기방식 간선 및 분기회로 간선 : 전기기기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전력만 전달해 주는 선로 분기회로 :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기기(전등, 에어컨 등)에 전력을 공급해 주는 선로 간선과 분기회로 예시 분기회로 예시 전기방식 직류전압(DC Voltage) vs. 교류전압(AC Voltage) 직류전압(DC Voltage) 교류전압(AC Voltage) 크기와 방향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늘 일정한 전압으로 2선식(+ 적색, - 청색)과 3선식이 있다. 크기와 방향이 시간에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압으로 단상과 3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상(Single Phase) vs. 삼상(Three Phase) .. 2021. 10. 2.
전기의 기초 전기 안전을 위해 전기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어 먼저 전기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전기의 기초 전압과 전류 - 전압에 의한 전위차가 있을 때 비로소 전류는 흐름 - 수위차에 의한 수압이 있을 때 물이 높은 수위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과 비슷 전압(전위차) 전류 원자 내부에서 전기의 압력이 발생하면 원자 내 자유전자가 이동하여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데,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의 압력을 전압이라 한다. 원자 외부에서 힘이나 반응이 주어지면 원자핵과 결속력이 약한 전자가 영역을 이탈하여 이동하는 네 이를 자유전자라 하고, 전자의 이동(흐름)을 전류라고 한다. 문 자 : V(E) 단 위 : V(Volt) * 1V는 쿨롱(Coulomb)의 전기량이 두점 간을 이동하여 1Joule의 일.. 2021. 10.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