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2 공기정화장치의 종류 공정에서 발생한 처리물질의 종류에 따라 공기정화장치를 구분하고 있어 각각에 대해 원리 및 처리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공기정화장치의 종류 처리물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어 각각에 대해 원리 및 처리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입자상 물질의 처리 가스상 물질의 처리 Reference : KOSHA 안전검사 매뉴얼 2021. 10. 28. 국소배기장치 안전검사 고시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3호(안전검사 고시) 중 국소배기장치의 검사기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국소배기장치 안전검사 고시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3호(안전검사 고시) 별표 6(국소배기장치의 검사기준)은 다음과 같다. Reference : KOSHA 안전검사 매뉴얼 2021. 10. 28. 국소배기장치 안전검사 국소배기장치 안전검사 항목에 대해 KOSHA에서 발간한 안전검사 매뉴얼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국소배기장치 안전검사 안전검사 방법 효율적인 검사를 위하여 국소배기장치의 계통도를 확인하고 후드 및 덕트, 전기장치, 공기정화장치 및 배풍기 순서로 검사를 진행한다. 안전검사 항목 국소배기장치 안전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스펙 확인 1. 실물 및 명판 확인 - 종류(포위,외부,레시버) 확인 - 제조자, 제조년월일, 후드 배기유량 확인 2. 작업환경측정결과 확인 - 최근 2년치 측정값 확인, 취급물질 확인 ● 후드 1. 후드의 설치상태 및 표면상태 - 유해물질 발산원마다 후드 설치 여부 확인 - 후드 형태가 유해물질을 흡입하기에 적절한 형식과 크기인지 확인 » 근로자의 호흡위치가 오염원과.. 2021. 10. 28. 압력용기 안전검사 화학공정 유체취급용기 또는 그 밖의 공정에 사용하는 용기(공기 또는 질소취급용기)로써 설계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0.2MPa(2kgf/㎠)을 초과한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압력용기 안전검사 압력용기의 구조 압력용기의 검사범위 가. 용접접속으로 외부배관과 연결된 첫 번째 원주방향 용접이음까지 나. 나사 접속으로 외부배관과 연결된 첫 번째 나사이음까지 다. 플랜지 접속으로 외부 배관과 연결된 경우 첫 번째 플랜지면까지 라. 부착물을 직접 내압부에 용접하는 경우 그 용접 이음부까지 마. 맨홀, 핸드홀(점검구) 등의 압력을 받는 덮개판, 용접이음, 볼트/너트 및 개스킷 포함 압력용기 검사 대상 화학공정 유체취급용기 또는 그 밖의 공정에 사용하는 용기(공기 또는 질소취급용기)로써 설계압력이 .. 2021. 10. 28. 이전 1 ··· 90 91 92 93 94 95 96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