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2 상압저장탱크 종류 및 안전장치 위험물을 저장하는 탱크는 NFPA 30에 따라 상압저장탱크(Atmospheric storage tank), 저압저장탱크(Low pressure storage tank) 및 압력저장탱크(Pressure storage tank)로 구분된다. 이중 상압저장탱크는 탱크 상부의 압력이 대기압에서 6.9 kPa(1 psig)까지의 압력으로 운전하도록 설계된 탱크로서 금번 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상압저장탱크 종류 및 안전장치 상압저장탱크 종류 및 특징 위험물 저장탱크는 설계 시 한국산업규격, 미국의 API STD 650, 620, 영국표준 2654 등에 근거하여 설계되고 있다. 위험물 저장탱크는 에서와 같이 형상, 사용재질, 제작방법, 사용방법, 설치장소, 지붕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위험물.. 2021. 9. 4. 황산(H2SO4) 취급 시 스테인리스강 선정 일반적으로 황산은 농축되면 산화되지만, 저농도 및 '중간' 농도에서 감소한다. 대부분의 스테인리스강 유형은 일반적으로 저농도 또는 고농도에서는 내성이 있지만 중간 농도에서 내부식성이 떨어진다.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황산의 농도는 약 96 wt %이다(비중: = 1.84). 황산(H2SO4) 취급 시 스테인리스강 선정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Isocorrosion Diagram) 다음 등식 다이어그램(Isocorrosion Diagram)에서 각 라인은 0.1 mm/년 부식률을 나타낸다. 이는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한(acceptable) 성능과 허용되지 않는(unacceptable) 성능 사이의 경계로 간주한다. (끊긴 선은 boiling point를 나타낸다.) Isocorrosion diagram, 0.1.. 2021. 9. 1. 열전도율 vs. 열관류율 단열을 이야기할 때는 열전도율, 열관류율, 열저항 이라는 세가지 용어는 이해하여야 한다. 금번은 열전도율, 열관류율 상관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단열재 열전도율 vs. 열관류율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 or Thermal conduction rate) λ (Kcal/m.h.℃) 열전도는 열을 재료의 앞쪽 표면에서 뒤쪽 표면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하며, 두께 1 m, 면적 1 ㎡ 인 재료의 앞쪽 표면에서 뒤쪽 표면으로 1℃의 온도차로 1시간 동안 전달된 열량을 뜻한다. 즉 어떤 물체의 고유 성질로서 전도에 의한 열이동의 정도를 나타 낸다. 두께의 변화가 있어도 동일하다. 즉, 열전도율은 두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열관류율(Heat transmittance or Heat .. 2021. 8. 31. 국소배기장치 설치기준 국소배기장치에서 제어풍속이란 포위식 후드에서는 후드 개구면에서의 최소풍속 외부식 후드에서는 후드 개구면으로부터 가장 먼거리의 작업위치에서의 풍속을 의미하고, 반송속도는 덕트내에서 혼합공기가 반송되는 속도를 의미한다. 국소배기장치 설치기준 각 설비별 설치기준 1) 후드 ①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곳마다 설치할 것 ② 유해인자의 발생형태 및 비중, 작업방법 등을 고려하여 당해 분진등의 발산원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③ 후드형식은 가능한 한 포위식 또는 부스식 후드를 설치할 것 ④ 외부식 또는 레시버식 후드를 설치하는 때에는 당해 분진 등의 발산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할 것 2) 닥트 ① 가능한 한 길이는 짧게 하고 굴곡부의 수는 적게 할 것 ② 접속부의 내면은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할 것 ③ .. 2021. 8. 30. 이전 1 ··· 95 96 97 98 99 100 101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