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화관법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2025. 8. 7.부터 시행될 화관법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관법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관련 법규제13조(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누구든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을 지켜야 한다. 2024. 2. 6.>1.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이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유지ㆍ관리할 것2. 유해화학물질의 취급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예방대책을 강구하고,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응급조치를 할 수 있는 방재장비(防災裝備)와 약품을 갖추어 둘 것3. 유해화학물질을 보관ㆍ저장하는 경우 종류가 다른 유해화학물질을 혼합하여 보관ㆍ저장하지 말 것3의2. 유해화학물질을 담는 용기(容器) 본래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할 것4. 유해화.. 2024. 6. 18. 희석용 환기량 계산 사례 유해물질이 발생원으로부터 작업장내에서 확산되어 이동하는 경우, 유해물질의 농도가 노출기준미만으로 유지되도록 적정한 환기가 필요(희석용 환기)하다. 희석용 환기량 계산 사례 전체환기장치 환기량 산정에 대한 세부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https://sec-9070.tistory.com/1109 전체환기장치 환기량 산정전체환기는 1. 유기화합물의 노출기준이 100피피엠(ppm) 이상인 경우, 2.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대체로 균일한 경우, 3. 동일한 작업장에 다수의 오염원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4. 오염원이 이동sec-9070.tistory.com 환기량 산정은 그 용도에 따라 계산식이 다른 바 그 목적을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희석, 화재·폭발방지, 수증기 제거, 열배출 등 산.. 2024. 6. 18. 휘발성 액체 용기 충진시 증기 농도 공장 설계 단계에서 사업장 내 드럼 또는 용기에 휘발성 액체를 충진할 때, 용기 외부로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의 량과 농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어 이를 계산하는 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휘발성 액체 용기 충진시 증기 농도 드럼 또는 용기에 휘발성 액체를 충진할 때 용기 주변의 농도를 파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증기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설계 목적으로 증기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계산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필요가 있다. 용기 충전 작업 중 작업자 노출 추정액체로 채워지는 용기의 경우 다음 그림과 같이 두 가지 요인에 의해 휘발성 배출이 발생한다. - 액체의 증발 (기 포스팅한 "액체의 기화 속도 추정"의 방정식 3)- 용기를 채우는 액체에 의한 증기 공간에서의 증기 변위 1> 충.. 2024. 6. 16. 액체의 기화 속도 추정 공장 설계 및 운영 단계에서 개방된 용기 및 유출 지역에서 액체의 기화 속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어 이를 계산하는 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액체의 기화 속도 추정포화 증기압이 높은 액체는 더 빨리 증발한다. 따라서 증발 속도(질량/시간)는 포화 증기압의 함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정체된 공기 중으로 증발하는 경우 증발 속도는 포화 증기압과 정체된 공기 중 증기의 분압의 차이에 비례한다; 즉(식 1)여기서psat는 액체의 온도에서 순수한 액체의 포화 증기압이고 p는 액체 위의 정체된 bulk 기체에서 증기의 분압이다. 기화 속도에 대한 보다 일반화된 다음 식을 사용할 수 있다:(식 2) 여기서Q= 증발 속도(질량/시간)M= 휘발성 물질의 분자량K= 면적 A에 대한 질량 전달 계수(길이/시간)R.. 2024. 6. 15.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38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