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밀폐공간 휘발성 증기 농도 계산 공장 설계 단계에서 밀폐된 공간의 개방된 용기 위, 드럼이 채워진 곳, 유출 지역에서 증기 농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어 이를 계산하는 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밀폐공간 휘발성 증기 농도 계산유독성 증기 노출을 파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증기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설계 목적으로 증기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통상 드럼이 채워진 곳에서 개방된 용기 위와 유출 지역에서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 진다고 가정할 필요가 있다.   휘발성 증기 농도 계산식다음 그림과 같은 밀폐된 공간을 생각해 보자. 이 인클로저는 일정한 부피의 공기 흐름으로 환기된다. 휘발성 증기는 인클로저 내로 방출(주입)한다. 밀폐된 공간에서 휘발성 증기의 물질수지 공기 중 휘발성 물질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변수를.. 2024. 6. 14.
안전설계 제작 및 설치관련 지침 PSM에서는 설비의 설계 및 설치기준을 명확히 함으로써 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각 설비별 설치관련 코드 및 기준, 설치 시방서, 운전보수 지침서 등을 확보함으로써 유사시에 즉각 활용할 수 있도록 안전 설계 설치  Code & Standard를 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안전설계 제작 및 설치관련 지침모든 유해・위험설비에 대해서는 안전설계・제작 및 설치 등에 관한 설계・제작・ 설치 관련 코드 및 기준을 작성하여야 한다.다음은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시 사용하고 있는 안전설계・설치 Code 및 Standard 사례이다.  안전설계・설치 Code 및 Standard 사례   엔지니어링 표준(standards) 범위현대의 엔지니어링 표준(standards)은 부품 교환보다 훨씬 더 광범위.. 2024. 6. 13.
정전기 제거설비 가연성액체, 가연성미분 등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위험물의 유동마찰 등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고 이것의 방전 불꽃에 의해 위험물에 착화할 위험성이 있기때문에 이러한 설비에는 축적되는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 설치가 필요하다.   정전기 제거설비관련 법규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4]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제28조관련)Ⅷ. 기타설비6. 정전기 제거설비위험물을 취급함에 있어서 정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는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가. 접지에 의한 방법나.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하는 방법다. 공기를 이온화하는 방법  정전기 대책일반적인 대책으로서는 접지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 2024. 6. 12.
위험물 배출설비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 중 가연성증기 또는 가연성의 미분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증기 또는 미분을 옥외로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배출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위험물 배출설비관련 법규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4]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제28조관련)Ⅵ. 배출설비가연성의 증기 또는 미분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건축물에는 그 증기 또는 미분을 옥외의 높은 곳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하여 배출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1. 배출설비는 국소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역방식으로 할 수 있다.가. 위험물취급설비가 배관이음 등으로만 된 경우나. 건축물의 구조·작업장소의 분포 등의 조건에 의하여 전역방식이 유효한 경우2. 배출설비는 배풍.. 2024. 6.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