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기계설비의 위험분석 및 대책 기계설비의 위험을 분석하고자 할 때 선행되어야 할 사항은 어떻게 동작되고 운용되는가를 분류하여야 한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위험분석과 교육, 방호장치 및 안전장치 등의 조치가 따르게 된다. 기계설비의 위험분석 및 대책 위험분석 원칙기계설비의 위험을 분석하고자 할 때 선행되어야 할 사항은 어떻게 동작되고 운용되는가를 분류하여야 한다. 이를 두고 대분류라고 한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위험분석과 교육, 방호장치 및 안전장치 등의 조치가 따르게 된다. ● 기계설비의 동작과 운동 유형① 회전동작과 운동:반원, 타원, 호(弧)운동으로 회전하는 모든 설비② 횡축동작과 운동:상하, 좌우, 전후 등으로 한쪽 방향으로 직선측면으로 움직이는 모든 설비③ 왕복동작과 운동:출발점에서 출발하여 반드시 출발점으로 귀환되는 설.. 2024. 7. 2. 자유 팽창(free expansion) vs. 교축(throttling) 과정 가스 및 증기 누출은 교축(絞縮, throttling) 과정이나 자유 팽창(free expansion)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양 과정의 차이점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자유 팽창(free expansion) vs. 교축(throttling) 과정자유팽창(free expansion) 과정 자유팽창(自由膨脹, free expansion)은 단열된 진공 공간으로 저절로 팽창하는 비가역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외부에서 행해지는 일이 없으며 단열이 된 계 내부에서 기체가 진공상태로 확산되어 새로운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Q=0, W=0) 바로 '자유팽창(비가역 단열) 과정'이라고 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이상기체의 자유팽창 과정은 등온과정이라는 점이다.비가역 과정이므로 정확한 경로는 .. 2024. 7. 2. 교축 Throttling 교축(Throttling) 개념 및 교축 과정(Throttling process), 교축 효과(Joule-Thomson Effect) 등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교축 Throttling 교축 과정 (throttling process) 유체가 노즐이나 팽창밸브, 오리피스, 모세관 등과 같이 유로(流路)가 좁은 곳을 통과하게 되면, 유체는 단열상태에서 외부와 열량이나 일량의 교환 없이도 유체의 마찰과 와류의 증가로 압력이 감소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교축(絞縮,throttling)이라 한다. 또한 냉매와 같은 액체의 경우는 교축되어 압력이 내려가 액체의 포화압력보다 낮아지면 액체의 일부가 증발하며,(플래쉬 가스 발생) 증발에 필요한 열을 액체 자신으로부터 흡수하므로 액체의 온도는 감소한다.일.. 2024. 7. 1. 질량보존에 대한 계산사례 가장 기초적인 자연법칙 중의 하나로 질량(mass)은 에너지와 같이 보존되는 상태량(conserved property)으로 유체의 이동 시 질량 보존 (mass conservation) 계산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질량보존에 대한 계산사례일반적으로 액상의 유체에 대해서는 정상유동과정(steady – flow process) 및 비압축성 물질(incompressible substance)으로 가정하고 질량 보존의 법칙 (conservation of mass principle)을 정량화 한다. 유체의 평균 유속 계산1. 공정 조건노즐이 부착된 정원용 호스를 사용하여 용량이 40 L인 물통에 물을 채운다. 호스의 내경은 2 cm이고, 노즐 출구에 서 0.8 cm로 줄어든다. 물통에 물을 채우는데 50.. 2024. 6. 26.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38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