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단열압축 점화원 연소의 3요소 중 우리가 현장에서 소홀이 다루고 있고, 또 가장 관리가 필요한 점화원(발화원)중 기계적 점화원인 단열압축에 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단열압축 점화원발화할 수 있는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존재하고 연료증기와 공기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고, 이 혼합물이 발화되기 위해서는 발화원(고온 및 연소의 화학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이 존재해야 한다.  점화원(발화원) 종류가연물을 연소시키기 위해 가하는 활성화 에너지를 점화 에너지라고 하며, 점화 에너지를 전달하는 근원을 점화원이라고 한다.점화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1. 기계적 및 열적 점화원 - 단열압축, 충격⋅마찰, 화염(나화), 고온 표면(열원) 2. 전기적 점화원 - 전기불꽃(스파크), 정전기3. 화학적 점.. 2024. 7. 15.
화재·폭발 사고 개요 화학 공장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세 가지 사고는 화재, 폭발, 독성 물질 누출 순서대로 발생하며, 유기 용제는 화학 산업에서 화재와 폭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화재·폭발 사고 개요화학 공장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사고는 독성, 인화성, 폭발성 물질의 유출로 이어지고, 세 가지 사고는 화재, 폭발, 독성 물질 누출 순서대로 발생한다.화재 및 폭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려면 엔지니어는 화재 및 폭발의 규모와 결과를 추정하기 위해 물질의 화재 및 폭발 특성, 화재 및 폭발 과정의 특성, 화재 및 폭발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절차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용어의 개념 “화재(火災, fire, blaze, conflagration) ”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 2024. 7. 11.
누출 피해 완화 대책(Release Mitigation) 화학 공장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사고는 독성, 인화성 또는 폭발성 물질의 누출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누출모델링을 통하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누출 피해 완화 대책(Release Mitigation)피해예측(사고결과)분석(Consequence Analysis) 절차화학 공장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사고는 독성, 인화성, 폭발성 물질의 유출로 이어진다. 이러한 화재 · 폭발 · 누출과 같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명이나 재산상의 손실 또는 업무중단으로 인한 손실 비용 등에 영향을 주는 원치않는 결과를 분석, 추산하는 위험성 평가 기법(Consequence Analysis)이 필요하다. 이는 사고의 종류와 형태, 사고 시의 환경조건, 비상 시를 대비한 손실감소 대책 등이 어떠하냐에 따라 .. 2024. 7. 8.
분산(Dispersion)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 독성 물질과 관련된 공정설비의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대량으로 누출하여 공장 현장과 주변 인근지역 전체에 위험한 구름(cloud)을 형성하여 퍼뜨릴 수 있어, 이의 영향을 평가하는 독성 누출 모델(Toxic release models)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분산(Dispersion)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독성 누출 모델(Toxic release models) 용도독성 누출 모델(Toxic release models)은 누출이 공장과 인근지역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화학 엔지니어는 독성 누출의 모든 측면을 이해하여 누출 상황을 예방하고 누출이 발생할 경우 그 영향을 줄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독성 누출 모델이 필요하다.독성 누출 및 확산 모델(Toxic re.. 2024. 7.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