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유기용제 중독 사고 세척제로 사용하고 있는 유기용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이하 “TCE”) 중독 사고 사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유기용제 중독 사고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https://sec-9070.tistory.com/1420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관리대상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기화합물은 유기용제가 다수 포함되어 있고 법규 준수를 위해 준수하여야 할 항목이 많아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sec-9070.tistory.com  사고 개요경기도 소재 OO에서 소속 근로자 2명이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이하 “TCE”) 세척조에 들어가 증기조 청소작.. 2024. 7. 3.
국소배기장치 설치 시 고려 사항 유해물질의 발생원으로부터 유해물질 증기·분진·흄 등을 제거하거나 또는 희석하는 방법 이며 환기하는 방법에는 특정한 장소에서 발생한 유해물질을 기류를 이용하여 주위에 흩어 지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하는 국소배기하는 방법과 자연적 또는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장 내의 열, 수증기, 유해물질 등을 전체적으로 희석, 환기하는 방법이 있다.     국소배기장치 설치 시 고려 사항 국소배기장치는 물질에 따라 약간씩 구성하는 계통이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계통으로 이루어진다. 국소배기장치의 구성요소  후드의 선정 작업형태 및 공정에 적합한 후드를 선택한다.작업 중 발생되는 유해물질이 근처의 공간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산범위 내의 오염공기를 발생원 에서 직접 포집하기 위한 국소배기장치의 입구부.. 2024. 7. 3.
건강장해 요인 및 대책 사업장에서 근로자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작업환경 각 요인별 대표적인 건강장해를 살펴보고 그 대책을 공유하고자 한다.   건강장해 요인 및 대책 건강장해 요인근로자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작업환경 각 요인별 대표적인 건강장해는 다음과 같다. 작업환경요인에 대한 영향※ 화학적 요인 등에 의한 건강장해 : 유해물질 ⇨ 발 산 ⇨ 공기오염 ⇨ 인체흡수(호흡기, 소화기, 피부) ⇨ 축적 ⇨ 건강장해 ※ 물리적 요인 등에 의한 건강장해 : 유해에너지 ⇨ 방사, 전파, 온도 또는 기압변동 ⇨ 건강장해 ※ 작업행동 요인 등에 의한 건강장해 : 정상 환경 ⇨ 불량한 작업조건(작업자세, 작업시간) ⇨ 건강장해   건강장해 예방 대책 (1) 관리적 대책 • 배치전 건강진단으로 근로자의 적정 배치, 정기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및.. 2024. 7. 3.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 관리대상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기화합물은 유기용제가 다수 포함되어 있고 법규 준수를 위해 준수하여야 할 항목이 많아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유기용제 개요산안법상 관리대상 유기화합물은 총 117종이며 다른 물질을 녹이는 성질을 가진 유기용제가 다수 포함되어 있고 벤젠이나 포름알데히드와 같이 과거에 특정화학물질로 분류된 물질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유기용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와 방향족 염화탄산수소(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는 고농도에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고, 저농도에서 장기로 노출되면 조형장해를 일으킬 수 있다. 알데히드류(포름알데 히드, 아세트알데히드.. 2024. 7.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