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위험물 탱크의 주입구 옥외저장탱크 등의 위험물 탱크 주입구 설치 기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위험물 탱크의 주입구위험물(Hazardous Materials):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하는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물품으로 산화성 고체, 가연성 고체,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인화성 액체, 자기반응성 물질 및 산화성 액체 등이 있음. (1) 주입구는 화재예방상 지장이 없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2) 주입구는 주입 또는 주입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위험물이 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3) 주입구에는 밸브 또는 뚜껑을 설치하여야 한다.(4) 인화점이 21 ℃ 미만인 위험물의 탱크의 주입구에는 보기 쉬운 곳에 옥외저장탱크 주입구라는 뜻을 표시한 표지와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게시판을 설치하고, 휘발유, .. 2024. 6. 7.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기준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Clean Agent)는 할로겐화합물(할론 1301, 2402 및 1211 제외) 및 불활성가스로서 전기적 비전도성이며, 휘발성인 있거나 증발 후 잔류물이 남지 않는 약제를 말한다.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기준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Halocarbon Agent)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등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한다.불활성가스 소화약제(Inert Gas Agent) 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 중 한 가지 이상을 주 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의 적응성전역방출방식의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에 사용하는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는 표 1과 같으며, 이들의 물성은.. 2024. 6. 3. 할로겐화합물소화기 할로겐화합물소화기는 할론가스를 소화약제로 사용하며 다른 소화약제와 달리 분자 안에 존재하는 불소, 염소, 브롬이 가열로 인해 원자상태로 따로 떨어지게 되고 이것이 연쇄반응을 확대시키는 활성물질과 결합해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화학적 작용을 통해 화재를 진압한다. 할로겐화합물소화기 관련 법규소방청고시 제2022-31호(NFPC 101) 제4조(설치기준) ③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을 방출하는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기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 미만의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할로겐화합물 소화기 개요할론1211, 할론1301, 할론1011, 할론2402 등과 같은 소화약제를 사용하.. 2024. 6. 2. 이산화탄소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이산화탄소를 소화약제로 하는 소화기로 고압가스용기에 저장한 이산화탄소를 특정소방대상물에 방사하여 소화하는 것이다. 이산화탄소소화기 관련 법규소방청고시 제2022-31호(NFPC 101) 제4조(설치기준) ③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을 방출하는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기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 미만의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산화탄소 소화기 개요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이산화탄소를 소화약제로 하는 소화기로 고압가스용기에 저장한 이산화탄소를 특정소방대상물에 방사하여 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이산화탄소(CO2)가 고압용기에 충전되어 있어 레버를 작동하면 노즐을 .. 2024. 6. 2.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38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