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간이 소화용구 종류 등 "간이 소화용구" 란 에어로졸식소화용구, 투척용소화용구 및 소화약제 외 의 것을 이용한 소화용구를 말한다. 즉 소화기 및 자동소화장치를 제외한 소화능력단위 1단위 이하의 소화용구이다.    간이 소화용구 종류 등소화기 및 자동소화장치를 제외한 소화능력단위 1단위 이하의 소화용구로서 화재발생 초기단계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소화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1회용으로 제작되는 보조 소화용구이다. 간이소화용구의 종류에는 투척용 소화용구, 에어졸식 소화용구 및 소화약제외의 것을 이용한 간이소화용구로 구분된다.   투척용 소화용구 - 용기(원통형 모양)는 경질유리 및 합성수지류로 화재지역에 투척시 쉽게 깨지도록 되어 있으며, 소화약제는 무기산염인 요소, 암모늄염, 알칼리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 등을 봉입하여 사.. 2024. 6. 2.
소화기 설계 예시 소화기구 능력단위 및 선정기준에 따라 소화기 설계 방법 및 계산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소화기 설계 예시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소화기구 능력단위 및 선정기준)를 참조하여 필요한 소화기구를 설계한다.https://sec-9070.tistory.com/1393 소화기구 능력단위 및 선정기준소화기의 능력을 표시하는 것으로는 소화능력단위가 사용되며 검정시험을 거쳐 능력단위를 인정받게 된다. 검정시험은 A급 화재 소화능력시험, B급 화재 소화능력시험을 실시한 결과에 의해서sec-9070.tistory.com  문제 : 그림의 내용과 같은 아파트에 2단위 분말소화기 및 자동소화장치 등 필요 한 소화기구를 설계하라? 아파트 1개층의 평면도(150㎡)  계산 조건1.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 2024. 6. 2.
소화기구 능력단위 및 선정기준 소화기의 능력을 표시하는 것으로는 소화능력단위가 사용되며 검정시험을 거쳐 능력단위를 인정받게 된다. 검정시험은 A급 화재 소화능력시험, B급 화재 소화능력시험을 실시한 결과에 의해서 능력단위를 인정하는데, C급 화재에 대한 능력단위는 없고 방사된 약제가 전기 절연성이면 C급 화재에 적응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소화기구 능력단위 및 선정기준소화기구에는 소화능력을 나타내는 능력단위가 표시되어 있다. 규정에 따른 시험에 의하여 소화기마다 능력단위가 부여된다. 소화기구의 능력단위는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충전되어 있는 소화약제의 양에 비례하지만 같은 양의 소화약제라 할지라도 보통화재(A급화재)인가 유류화재(B급화재)인가에 따라 능력단위는 달라진다. 다만, 전기화재(C급화재)에 대하여서는 전기화재에 사용할 수 있.. 2024. 6. 2.
포 소화약제의 종류 "소화약제"란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에 사용되는 소화성능이 있는 고체ㆍ액체 및 기체의 물질을 말한다.   포 소화약제의 종류소화약제 개요소화약제의 공통적 성질(소방청고시 제2023-6호 제3조)① 소화약제는 현저한 독성이나 부식성이 없어야 하며 열과 접촉할 때 현저한 독성이나 부식성의 가스를 발생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② 수용액의 소화약제 및 액체상태의 소화약제는 결정의 석출, 용액의 분리, 부유물 또는 침전물의 발생 등 그 밖의 이상이 생기지 아니하여야 하며 과불화옥탄술폰산(그 염류와 과불화옥탄술포닐플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및 과불화옥탄산(그 염류를 포함한다)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③ 소화약제의 중량은 별표1의 중(용)량 허용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별표1] 소화약제 중(용)량 허용범위   소화약제.. 2024. 5.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