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인화성액체 유해·위험 예방 조치 인화성액체의 위험요인, 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방지, 취급 시 안전수칙 등 일터에서 적용하여야 할 유해·위험 예방 조치(정전기 및 전자파로 인한 재해 방지)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인화성액체 유해·위험 예방 조치 인화성액체 취급 시 핵심 위험요인• 인화성 액체를 보관하던 용기에 뚜껑 미설치 등 용기의 유체를 대기에 노출시켜 인화성 가스가 대기중으로 발산되면서 폭발분위기 형성• 인화성 액체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액체의 이송 시 정전기가 대전되고 접지가 되지 않는 용기 또는 접지할 수 없는 받침대에서 작업 중 정전기 방전에 따른 화재폭발• 인화성물질의 화학적 특성, 유해·위험성 미인지로 인한 화재폭발, 건강장해  접지 vs. 본딩• 본드(bond)란 「연결」을 의미하며, 원래 철도레일의 이음 사이에 .. 2024. 5. 19.
방전에 의한 점화 정전기 관련 화재·폭발 원인변수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고 그중 방전에 의한 점화에 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방전에 의한 점화는 정전기적 에너지가 방전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방전에 의한 점화 정전기 대전 등으로 물체나 공간에 전하가 축적되고 그 전하에 의해 형성된 전계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절연파괴를 일으키면서 파괴음과 발광을 수반되는 정전기 방전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전계 내부를 운동하는 전자와 기체 원자·분자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전자의 운동 에너지는 전계의 강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계가 커지면 전자는 기체 원자·분자와 여기나 전리 충돌 등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리현상으로 전자와 양이온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자가 전계에 의해 가속되어 .. 2024. 5. 19.
최소점화에너지 통제 정전기 관련 화재·폭발 원인변수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고 그중 물질과 관련된 최소점화에너지 통제에 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최소점화에너지 통제 최소점화에너지는 인화성 분위기에서 화염전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해당 계에서 부여되어야만 하는 에너지의 최소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지금까지 다양한 에너지원과 점화원을 활용하여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점화원은 전기 스파크이다. 측정방법으로는 용량성 방전형과 유도성 방전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용량성 방전형이 사용된다.최소점화에너지를 실험적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콘덴서(C)에 충전한 에너지를 전극 간에 방전시켜, 스파크가 발생하기 전의 콘덴서(C) 전압(V)을 측정하고, 최소점화에너지는 E=CV^2 /.. 2024. 5. 19.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성평가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 관리로서 화재·폭발 발생 조건, 가연성 분위기의 생성 방지, 점화성 방전의 발생 방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성평가 주요 용어의 이해 • 정전기 : 대전에 의해 얻어진 전하가 절연체위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것• 대전 : 어떤 물질이 +, - 전기를 띠는 현상• 방전 : 대전체가 가지고 있던 전하를 잃어버리는 것• 고유저항 :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물질의 고유한 성질로 전도도의 역수로 표시• 전도도 : 도체의 물질에 전류가 흐르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 점화 에너지 : 증기, 공기 혼합물이 점화되는데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농도에 따라 변화. 대부분의 물질에서 점화되는 최소 에너지는 연소하한과 연소상.. 2024. 5.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