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위험성평가 및 사고예방160

위험물 작업 유해·위험 요인 항만하역업의 위험물 작업의 유해·위험 요인을 공유하고자 한다. 여기서 위험물(Dangerous Goods)이란 운송 시 건강, 안전, 재산 및 환경에 부당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    위험물 작업 유해·위험 요인일반적으로 위험물(Dangerous Goods)이란 운송 시 건강, 안전, 재산 및 환경에 부당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또한, 위험물에는 이전에 위험물을 담았던 세척되지 않은 빈 포장용기(소형용기, 중형산적용기, 대형용기,  산적용기, 이동식 탱크 또는 탱크 차량)도 포함된다. IMO의 IMDG Code에서 규정하는 제1급부터 제9급까지의 위험물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작업으로 본선작업, 운송작업, 야드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위험물 컨테이.. 2024. 10. 21.
라스무센(rasmussen)시스템 모델 사고 발생 원인 이론 중 가장 널리 받아들여 사용하고 있는 라스무센(rasmussen)시스템 모델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라스무센(rasmussen)시스템 모델휴먼에러(human error) 또는 인적요인(human factor)산업재해는 단순히 개인의 실수로 발생하지 않으며 인간의 행동, 기계, 환경, 조직 구조와 같은 여러 가지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사업장에서 지휘·감독하에 있는 근로자의 작업 중 행동은 자유로운 한 개인의 선택이나 결정과는 다르다. 사람의 실수를 안전 관련 학계에서는 휴먼에러(human error) 또는 인적요인(human factor)이라고 부른다. 최근 국제학회에서는 인간의 실수를 다양한 사고 원인 중 하나이고 그 근저의 배경 원인이 있음을 고려하여 ‘human e.. 2024. 9. 8.
HAZOP 이탈(Deviations) 적용 사례 화학공정 설비 중 Process Line 및 Process Vessel에 적용하는 Process Parameters(공정 변수)와 Guide words(가이드워드)의 조합인 Deviation(이탈) 적용 사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HAZOP 이탈(Deviations) 적용 사례HAZOP 연구는 화학 공정 시설의 위험성을 확인하기 위한 공식적인 위험성평가 기법이다.공정변수(Process Parameters)와 가이드워드(Guide Words)의 조합을 이탈(Deviations)이라고 하며 P&ID로 부터 검토 구간(Study Node)에 대해 유해위험요인(Hazards)을 추출하기 위해  설계자의 의도(Design Intents)와 벗어나는 이탈을 우선 고려하여야 한다. HAZOP 이탈(Deviat.. 2024. 7. 19.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 관리대상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기화합물은 유기용제가 다수 포함되어 있고 법규 준수를 위해 준수하여야 할 항목이 많아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유기용제 개요산안법상 관리대상 유기화합물은 총 117종이며 다른 물질을 녹이는 성질을 가진 유기용제가 다수 포함되어 있고 벤젠이나 포름알데히드와 같이 과거에 특정화학물질로 분류된 물질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유기용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와 방향족 염화탄산수소(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는 고농도에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고, 저농도에서 장기로 노출되면 조형장해를 일으킬 수 있다. 알데히드류(포름알데 히드, 아세트알데히드.. 2024. 7.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