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위험성평가 및 사고예방160

작업위험성평가 관련 용어의 정의 작업 수행 과정의 작업행위와 관련된 잠재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안전작업절차를 마련하고자 작업 위험성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이해하고자 먼저 작업위험성평가와 관련된 용어의 정의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작업위험성평가 관련 용어의 정의 (가) “작업위험성평가 (Job risk assessment)”라 함은 모든 작업에 대하여 유해위험 요인(Hazards)을 파악하고 안전한 작업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작업위험성분석(Job risk analysis, JRA), 작업안전분석(Job safety analysis, JSA), 또는 절차서실행분석(Procedure implementation analysis, PIA), 사전작업위험 분석(Pre-task hazard analysis, PTA) 등 작업의 유해위험요.. 2021. 2. 6.
Accident, Incident, Near-miss 정의 우리가 산업 현장에서 용어에 대해 외국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합의되지 않아 많은 혼동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위험성 등 산업안전 분야에서 그러한데 먼저 Accident, Incident, Near-miss와 같은 용어들의 정의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외국에서 조차도 그 개념이 통일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어 각각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Accident vs. Incident vs. Near-miss 법규 및 전문가에 의한 접근 1. OHSAS 18001, ISO 45001 Incident : 부상, 질병 또는 사망을 초래하였거나 초래할 수 있었던 작업 관련 사건 Accident : 부상, 질병 또는 사망이 실제적으로 발생한 Incident의 특별한 유형 Near miss : 부상, 질병 또는 사.. 2021. 2. 2.
사업장 위험성평가 vs. 공정 위험성평가 위험성평가를 진행할 때 법적으로 준수해야될 규정이 있는 데 PSM 과 관련된 공정 위험성평가와 산안법 전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사업장 위험성평가가 있다. 이 둘에 대해 차이점을 알고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를 실행해야 한다. 사업장 위험성평가 vs. 공정 위험성평가 1. 사업장 위험성평가 2, 공정 위험성평가 위험성평가 실시 주체 ① 사업주는 스스로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근로자를 참여시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하여 관리 개선하는 등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② 법 제63조에 따른 작업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도급에 의하여 행하는 사업의 경우는 도급을 준 도급인(이하 "도급사업주"라 한다)과 도급을 받은 수급인(이하 "수급사업주"라 한다)은 각각 제1항에 따른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야 한.. 2021. 1. 12.
위험성평가 개요 위험성평가란 사업장의 유해ㆍ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ㆍ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ㆍ결정하고 감소 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위험성평가 개요 위험성평가와 관련된 법령, 위험성평가 주체, 위험성평가 실시 절차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코자 한다.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① 사업주는 건설물, 기계ㆍ기구ㆍ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근로자의 작업행동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한 유해ㆍ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를 평가하여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하며, 근로자에 대한 위험 또는 건강장해를 방.. 2021. 1.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