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정전기 발생 이해 정전기(靜電氣, static electricity, electrostatic) 개념 및 정전기의 발생 원인 등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정전기는 전기이지만 그 특성으로 인해 업계에서는 연간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정전기 발생 이해 정전기란 물질 내부 또는 표면의 전하 또는 정지 상태의 전기의 불균형을 말한다 . Static electricity is an imbalance of electric charges within or on the surface of a material or electricity at rest. 정전기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 또는 양전하와 음전하 모두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전기의 메커니즘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균형 잡힌 원자는 원자핵에 존재하는.. 2024. 2. 21. 흡열 반응 vs. 발열 반응 화학물질의 흡열 반응 및 발열 반응에 있어서 엔탈피 변화(ΔH), 반응열, 결합에너지(Bond energy) 또는 결합 엔탈피와의 관계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흡열 반응 vs. 발열 반응 엔탈피 변화(ΔH) 엔탈피(enthalpy, H) 정의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1269 엔탈피(Enthalpy) 개념 열역학 제 1법칙을 이해하기 위해 엔탈피(enthalpy, H)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화학물질의 흡열 반응 및 발열 반응 이해에도 필요하다. 엔탈피(Enthalpy) 개념 엔탈피(enthalpy sec-9070.tistory.com 엔탈피는 그 값의 기준을 어떤 점으로 잡느냐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그 .. 2024. 2. 8. 엔탈피(Enthalpy) 개념 열역학 제 1법칙을 이해하기 위해 엔탈피(enthalpy, H)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화학물질의 흡열 반응 및 발열 반응 이해에도 필요하다. 엔탈피(Enthalpy) 개념 엔탈피(enthalpy, H) 정의 엔탈피(enthalpy, H) 는 열역학계의 성질로, 계의 내부 에너지에 압력 곱하기 부피를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 H = U + pV 여기서 H는 계의 엔탈피를, U는 계의 내부 에너지를, p는 계의 압력을, V는 계의 부피를 의미한다. 위의 엔탈피의 정의는 그 값이 기준을 어떤 점으로 잡느냐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쓰이는 것 보다는 계의 어떤 상태와 다른 상태 간의 엔탈피 차이(ΔH)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쓰인다. 어떠한 과정에서 압력의 변화가 0인 경우엔(ΔP.. 2024. 2. 8. 증기압(Vapor Pressure) 추정 산업 현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화학물질의 증기압은 MSDS로 부터 확인할 수 있지만 특정 온도에 대해서만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가 공학 계산시 다양한 온도에 따른 증기압을 적용할 필요가 있어 이를 계산하는 Antoine equation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증기압(Vapor Pressure) 추정 Antoine equation Antoine equation은 순수한 물질의 증기압과 온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반경험적 상관 관계식이다. 아래 표는 다양한 일반 화학 물질에 대해 NIST Chemistry WebBook에 게시된 Antoine equation 계수에 대한 참조 데이터이다. 사용된 앙투안 방정식의 형태는 다음과 같고, NIST에서 수집한 참조 데이터를 사용하여 A, B, C의 값을.. 2023. 12. 19.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