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가스 밀도(Gas Density) 가스 밀도는 지정된 압력과 온도에서 특정 부피를 차지하는 가스의 질량으로 정의된다. 가스 밀도(Gas Density) 가스 밀도는 지정된 압력과 온도에서 특정 부피를 차지하는 가스의 질량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ρ" 또는 "D"로 표시된다. 물질 밀도의 SI 단위는 입방 미터당 킬로그램(kg/㎥ )이다. 기타 밀도 측정 단위로는 리터당 킬로그램(kg/L), 밀리리터당 그램(g/mL), 입방미터당 톤(t/㎥) 등이 있다. 가스 밀도 계산 공식(이상 기체) 가스의 밀도는 기체의 전체 부피에 대한 기체의 총 질량과 같다. 기체의 몰 질량을 결정하려면 이상 기체 방정식을 고려해야 한다. 이상 기체 방정식으로부터 다음 식을 유도할 수 있다. PV = nRT = mRT/M......(1) 여기서, "P"는 기체.. 2023. 7. 20.
공기의 밀도 밀도는 단위 부피당 존재하는 물질의 질량이다. 즉, 밀도는 물질의 부피와 질량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공기의 밀도 일반적으로 밀도는 기체, 액체, 고체로 갈수록 커진다. 물은 액체고, 공기는 기체 혼합물이니 당연히 물보다는 공기의 밀도가 작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4 ℃ 물의 밀도는 1 [g/mL] (= 10^3 [kg/㎥])다. 부피 실린더로 1 [mL] 부피를 정확하게 재어 저울에 올려놓으면, 저울 눈금이 정확히 1 [g]을 가리킨다는 뜻이다. 이와 같이 밀도는 물질의 부피와 질량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공기의 밀도는 문헌에서 15 ℃ 조건에서 약 1.225 [kg/m3] 정도라 한다. 물의 밀도가 1000 일 때, 공기는 1.225 다. 약 816 배 정도 물의 밀도가 크다. 공기의 밀도 계.. 2023. 7. 19.
분자량, 몰 질량 등 화학량론 및 열역학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학식량(Formula weight), 분자량(Molecular weight), 원자량(Relative atomic mass / Relative atomic weight), 몰 질량(Molar mass), 몰 농도(molarity 또는 Molar concentration) 등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분자량, 몰 질량 등 분자량 vs. 몰 질량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분자량(화학식량)과 몰 질량이 동의어라고 하거나 화학식량의 단위가 g/mol이라고 하는 등 틀리게 설명하는데 차원을 분석해보면 몰 질량은 MN^−1이고 분자량(화학식량)은 무차원으로 둘이 서로 다른 물리량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용어가 뒤죽박죽이 된 이유는 다음 표와 같이 분자량(화학식량)에 .. 2023. 5. 31.
이상 기체 관련 공식 이상 기체(Ideal gas or Perfect gas)란 분자 사이의 거리가 그 크기에 비해 매우 커서 분자 사이의 인력이나 분자 크기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기체로 보일- 샤를(Boyle-Charles)의 법칙을 따르는 기체를 말한다. 이상 기체 관련 공식 실제 기체는 이상기체가 아니며, 압력을 어느 정도 낮추면 기체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여 이상 기체의 상태로 된다. 실용적으로 특별한 고압이나 저온이 아닌 산소, 질소, 공기, 연소 가스 등의 기체는 이상 기체로 취급할 수 있다. 보일- 샤를(Boyle-Charles)의 법칙 ● 보일의 법칙(Boyle's law)은 용기의 부피가 감소할 때 용기 내 기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실험 법칙이다.(등온 과정) - 온도와 .. 2023. 5.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