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주요 물질의 상대 밀도(비중) 금번에는 가스검지기 설치 위치와 관련된 주요 물질의 Relative vapour density (air = 1)에 대해 자료를 정리하였다. 주요 물질의 상대 밀도(비중) Relative vapour density (air = 1) 불화 수소(HF) HF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누출 시 분산되지만, 일부 누출 조건에서는 공기보다 무거운 증기운 및 에어로졸이 형성될 수 있다(EPA 1993). ▶ Relative vapour density (air = 1): 0.7 ~ 2.6 (see Notes) * Note : 무수 불화수소 분자는 상온 및 상압에서 증기 및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상대 밀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증기 밀도와 같은 물리적 상수는 20°C에서 2.6에서 65°C에서 0.7까지 온.. 2023. 7. 24.
증기 밀도 개념 및 활용 증기 밀도(Vapor density)는 증기가 누출될 때 어디에서 어느 시점에서의 증기 밀도인지가 반영되지 않으면 해석에서의 오류가 발생하는 바 증기 밀도의 개념 정립이 중요하다. 증기 밀도 개념 및 활용 증기 밀도(Vapor density)는 증기가 누출될 때 어디에서 어느 시점에서의 증기 밀도인지가 반영되지 않으면 해석에서의 오류가 발생하는 바 증기 밀도의 개념 정립이 중요하다. 즉, 증기 밀도는 기체(가스 또는 증기)와 공기 사이의 비율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정상적인 대기압에서 순수한 가스 또는 증기로 존재할 수 없는 주변 온도에서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증기 밀도 값이 잘못 해석되는 경우가 많아, 누출에 대한 잘못된 대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대응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증기 밀도의 영향요.. 2023. 7. 23.
증기/공기 혼합물의 상대밀도 증기/공기 혼합물의 상대밀도란 어떤 온도와 압력에서 액체와 평형상태에 있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이 보여주는 기체 밀도를 말한다. 증기/공기 혼합물의 상대밀도 어떤 온도와 압력에서 액체와 평형상태에 있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이 보여주는 기체 밀도를 말한다. MSDS에 표시되는 밀도 종류 메탄올(CH3OH)의 MSDS 9번 항목 물리화학적 특성에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 상대밀도 또는 비중 (물 = 1): 0.79 - 상대증기밀도 (공기 = 1): 1.1 * 일부 외국 MSDS에는 다음 상대밀도 항목이 추가 되어 있다. - 20°C에서 증기/공기 혼합물의 상대밀도 (공기 = 1): 1.01 여러 수치중에 사용 목적에 따라 어떤 수치의 밀도를 적용할 지 결정된다. ▶ 먼저 액체의 상대밀도 즉 비중(Spec.. 2023. 7. 22.
가스 또는 증기의 상대밀도 “가스 또는 증기의 상대밀도(Relative density of a gas or a vapor)”이라 함은 같은 압력과 온도에서 공기 밀도(공기 1.0)에 대한 가스 또는 증기의 상대 밀도를 말한다. 가스 또는 증기의 상대밀도 가스(Gas) vs. 증기(Vapor) 기체는 가스(Gas)와 증기(Vapor)로 나누어 생각 할 수 있다. 증기는 핵심은 액체이지만 기체 상태인 물질의 상태를 말하고, 반면에 기체는 전체적으로 가스 상태이다. 증기와 가스의 주요 차이점은 온도로서, 증기는 가스보다 온도가 낮다. 일반적으로 쉽게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 그 차이점은 가스는 상온 상압하에서 일정한 공간을 점유한 무정형 유체를 의미하면, 25℃, 1기압 상태에서 기체상태로 존재한다. 반면, 증기는 25℃ 기준 상.. 2023. 7.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