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개요 무기화학제품 제조업을 광의적으로 해석하면, 유기화학제품 제조업을 제외한 모든 화학제품 제조업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산재보험 상 무기화학제품 제조업(한국표준산업분류 상 기초무기화학물질 제조업)에 한정하여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개요 무기화학 vs. 유기화학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그리고 이로부터 파생된 유도체에 관한 화학을 유기화학이라고 한다. 유기화학은 석유화학산업을 주축으로 체계적으로 발전해 왔다. 반면에 무기화학은 유기화학에서 다루지 않는 모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무기화학은 118개의 원소 중 탄소를 제외한(또는 소량 포함하는) 모든 원소를 다루는 분야이다. 다시 말하면 그 영역이 매우 넓고 다양해서 구분이 어렵고, 분야를 세분화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다. 무기화.. 2024. 4. 18.
용융도금업 개요 용융도금업 사업장에서 산, 중금속, 시안화물과 같은 유해한 화학물질을 다량 사용하고, 작업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건강장해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업종이다. 용융도금업 개요 용융도금업 특성에 대해서는 기 포스킹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663 용융도금업 특성 용융도금업의 대부분 사업장은 아연도금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사업장은 알루미늄, 주석 도금을 사용한다. 용융도금업 특성 도금업은 기술의 다양성, 전문성 및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 sec-9070.tistory.com 표면처리 기술과 금속의 표면처리 종류에는 도금, 양극산화, 화성처리, 도장, 라이닝, 코팅, 표면경화 등이 있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 2024. 4. 9.
납땜(soldering) 납땜(soldering)은 땜납(solder)이라고 하는 금속을 사용하여 두 개의 금속 표면을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금속의 납(鉛, lead)과 혼동하지 말고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납땜(soldering) 용접(welding) vs. 납땜(soldering) 두 금속을 결합한다는 의미에서 어느정도 공통점이 있지만 '결합방법'에 있어서 확실하게 차이가 있다. 즉, 기본금속을 녹이느냐 안녹이느냐에 따라 구분한다. 열을 가해, 두 기본금속을 녹여 결합하는 것이 용접이고, 기본금속을 녹이지않고 결합한다면 납땜이라고 쉽게 말할 수 있다. 용접(welding)은 모재(기본금속) 용융점 이상인 3,000~6,000 ℃의 고온에서 진행하고, 반면에, 납땜(soldering)은 융점이 450℃ 이.. 2024. 3. 24.
용접의 분류 및 위험성 용접(鎔接, Welding)은 두 개의 똑같거나 서로 다른 금속 재료 사이에 고열을 가해서 붙이는 기술이다. 금속은 금속끼리 접할 때 전자를 교환하며 붙는 금속결합을 하게 되는데, (주로 고열을 이용해 녹여서) 서로 다른 재료의 결합 표면을 일치시키고 불순물을 제거, 혹은 섞여 들어가게 하여 붙이게 된다. 용접의 분류 및 위험성 용접의 분류 보통 용접이라 하면 대개 고온에서 금속을 녹이면서 접합하는 것으로, 용접의 분류에는 융접, 압접, 납땜이 있다. - 융접은 모재(대상이 되는 금속)를 융해시켜서 붙이는 것으로 퓨전 웰딩(Fusion welding)이라고 부른다. - 압접은 모재를 소성변형시켜 붙이는 것으로 프레셔 웰딩(Pressure welding) 혹은 스폿 웰딩(Spot welding)이라고 한다.. 2024. 3.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