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재해유형별 예방조치 방법 ·위험성평가 시 위험성이 큰 요인에 대해 허용 가능한 수준 이하로 관리를 하여야 한다. 이에 따른 재해유형별 예방조치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재해유형별 예방조치 방법 떨어짐 ● 위험요인: 추락 위험이 있는 모든 장소 * 사람이 인력(중력)에 의하여 건축물, 구조물, 가설물, 수목, 사다리 등의 높은 장소에서 떨어질 수 있는 모든 경우를 고려 ● 예방 방안: 가능한 근로자의 이동 및 작업 동선에 대한 분석이 우선 이뤄져야 하고, 위험성의 수준을 판단한 후 교육·주의 등 비재정적인 방법을 포함하여 가능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함 ① 제거·대체 - 설계·시공 시 개구부 최소화, 작업계획 수립단계에서 위험성평가 실시를 통한 추락 위험장소 최소화 ※ 설계안전보건.. 2023. 6. 13. 분진폭발 방지 대책 분진폭발은 공기 중에 떠도는 분진이 에너지를 받아 열과 압력이 발생하면서 연소, 폭발하는 현상을 말한다.분진폭발은 가스폭발에 비해 연소 속도가 느리고 폭발 압력은 작지만, 연소 시간이 길고 파괴력이 크다. 분진폭발 방지 대책연소한 분진의 팽창으로 압력이 상승해 연소 가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는 분진으로 인한 화재·폭발에 유의해야 한다. 화재·폭발의 발생 위험이 있는 분진분진은 연마, 분쇄, 절삭, 천공 등의 작업공정에서 고체물질이 파쇄되어 생긴 미세한 고체 입자로 크기가 150㎛ 이하인 것을 말한다.분진폭발은 공기 중에 떠도는 분진이 에너지를 받아 열과 압력이 발생하면서 연소, 폭발하는 현상을 말한다.분진폭발의 위험이 있는 업종은 목재 및 종이제품 제조업, 곡물 및 식품제조업.. 2023. 6. 11. 간편한 위험성평가 방법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 수준을 결정해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다. 우리 사업장의 무엇(What)이 누구(Who)를 위험하게 하고, 이를 어떻게(How) 줄일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쉽고 간편한 위험성평가 방법을 알아본다. 간편한 위험성평가 방법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은 위험성 수준을 상·중·하 또는 저·중·고와 같이 간략하게 구분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위험성의 수준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위험성의 수준을 상·중·하 또는 빨강·노랑·초록 등과 같이 3단계 등의 등급으로 구분해 유해·위험요인별로 등급을 매겼다면, 그 등급이 우리 사업장에서 ‘허용 가능한 위험성 수준’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 2023. 6. 11.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2)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2) 위험장소 구분도의 작성 1. 일반 사항 위험장소의 종별 및 범위는 상기의 기술된 방법에 의하여 도면을 작성하기 위하여 명확한 공학적 판단으로 결정한다. (1) 위험장소 구분도는 인화성 액체의 누출원을 나타내는 도면을 말하며, 위험장소의 종별과 그 범위를 표기한 것이다. 도면의 일부는 밀폐 공간 또는 공정지역에서의 단일 누출원 또는 복수의 노출원에 적용한다. 각 누출원에서 위험장소의 최소한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도표 선정의 예를 찾을 경우, 그 범위는 다음 사항을 참조하여 정한다. (가) 설비의 수리, 정비 또는 누설로 인해 위험분위기가 자주 생성되는지 여부? (나) 인화.. 2023. 5. 26.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