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1)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1) 폭발 위험장소의 설정 절차 위험성평가 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위험장소를 설정하는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위험장소 설정 절차 위험장소 설정 대상 검토 관련 설비에서 사용, 처리, 취급 또는 저장하는 물질이 인화성 액체에 해당된다면 위험장소의 설정 대상이 된다. 주) 가연성 물질이 인화점 이상에서 취급되는 경우에도 위험장소의 설정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관련 정보 수집 기 포스팅한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과 동일 https://sec-9070.tistory.com/1063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 위험성.. 2023. 5. 26.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2)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천연가스(NG) 보일러실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2) 위험장소 구분도의 작성 1. 일반 사항 위험장소의 종별 및 범위는 상기의 기술된 방법에 의하여 도면을 작성하기 위하여 명확한 공학적 판단으로 결정한다. (1) 위험장소 구분도는 인화성 물질의 누출원을 중심으로 위험장소의 종별과 그 범위를 표기한 것이다. 도면의 일부는 밀폐 공간 또는 보일러 지역에서의 단일 누출원 또는 복수의 노출원에 적용한다. 각 누출원에서 위험장소의 최소한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도표 선정의 예를 찾을 경우, 그 범위는 다음사항을 참조하여 정한다. (가) 설비의 수리, 정비 또는 누설로 인해 위험분위기가 자주 생성되는지 여부? (나) 인화성 가스가.. 2023. 5. 23.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천연가스(NG) 보일러실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 폭발 위험장소의 설정 절차 위험성평가 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위험장소를 설정하는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위험장소 설정 절차 관련 정보 수집 1. 설비 목록 및 기존 설비의 이력 설비 목록 및 기존 설비의 운전 경험은 위험장소 설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자료 이므로, 해당 또는 유사 설비의 운전 및 정비 경험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설비의 운전(누출관련) 이력을 수집한다. (1) 누출 사례를 경험했는가? (2) 누출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 (3) 누출이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작동 중에 발생하는가? (4) 설비의 상태가 정상, 불안전 또.. 2023. 5. 23. 반도체 칩 조립라인 안전수칙 반도체는 클린룸(Clean Room)에서 다양한 단위 공정으로 구성된 웨이퍼 가공라인 및 칩 조립라인의 과정으로 만들어진다. 각 공정에서는 많은 화학물질과 다양한 설비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유해·위험요인이 발생한다. 반도체 칩 조립라인 안전수칙 반도체 제조 흐름 반도체 제조 흐름도 공정별 유해요인 및 작업환경관리 1. 후면연마공정 Back grind, Back lap ● 공정 개요 - 웨이퍼 가공라인에서 가공된 웨이퍼의 뒷면을 얇게 갈아주는 공정을 말하며 사업장에 따라 back grind(B/G) 공정 또는 back lap(B/L) 공정이라고 함 - 웨이퍼는 연마작업에 앞서 앞면(웨이퍼 가공라인에서 회로를 구성한 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라미네이션 테이프가 붙여지며 연마(grind) 장비에 의해 자동.. 2023. 5. 13.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