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LOPA(보호 계층 분석) LOPA(Layers of Protection Analysis)는 단순화된 형태의 위험 평가기법으로서, 위험 시나리오(hazard scenarios)에 대한 보호 계층의 적절성을 식별하고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금번 LOPA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LOPA(보호 계층 분석) LOPA 소개 LOPA(Layers of Protection Analysis)는 단순화된 형태의 위험 평가기법으로서, 위험 시나리오에 대한 보호 계층의 적절성을 식별하고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LOPA의 목표는 충분한 보호가 있는지, 즉 위험을 허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보호 계층(protection layer)이라는 용어는 프로세스 위험을 제어하기 위해 다른 계층과 함께 작동하는 장비 및/또는 관리 및 절.. 2023. 7. 15.
노사가 함께 하는 위험성평가의 중요성 사업장의 재해를 근본적으로 예방하려면 법률에 근거해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위험성평가가 아니라, 노사가 함께 자신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스스로 찾고, 예방할 수 있는 대안을 스스로 마련해 지키도록 하는 것이 위험성평가의 핵심적인 실시 목적이다. 노사가 함께 하는 위험성평가의 중요성 고용노동부 중점 활동 현황 고용노동부는 2023년 6월말까지 위험성 평가 '집중 확산 기간' 으로 지정하고 최근 제도개편을 통해 현장의 활용도를 높인 ‘위험성평가’를 집중 홍보·점검하기 위한 전국 단위 캠페인을 실시했다. 현장점검의 날은 고용노동부·안전공단이 고위험사업장 등 대상으로 불시에 현장을 점검·감독하는 날로, 매월 매월 2째주, 4째주 수요일에 시행한다. 이번 현장점검은 5월 22일 위험성평가 고.. 2023. 6. 19.
비열비(specific heat capacity ratio) 열역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비열비, 기체상수, 정적비열, 정압비열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특히 비열비는 폭발위험장소 누출율 계산시 사용된다.   비열비(κ or γ, specific heat capacity ratio)Gas(or Vapor)의 비열비 및 개별 가스 상수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상적인 가스"의 정압비열(cp) 및 정적비열(cv), 비열비(κ or γ), 개별 가스 상수(R)는 아래 표와 같다.이들은 온도, 압력에 따라 달라지고 아래 Data는 20℃(68℉), 1기압(14.7psia)에서의 대략적인 값이다:  Specific Heats and Individual Gas Constantsκ(or γ) = cp / cv - the specific heat capacity ratiocp = sp.. 2023. 6. 17.
공정안전관리(PSM) 제도 합리화 공정안전관리(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제도에 대해 현장 실정에 맞도록 행정규칙(고시, 예규)을 합리적으로 개정하여 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공정안전관리(PSM) 제도 합리화 위험물질 누출, 화재 및 폭발에 따른 중대 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공정안전관리(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행정규칙(고시, 예규) 개정 내용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고시)」(’23.5.30.) 「중대산업사고 예방센터 운영규정(예규)」(‘23.4.28.) 개정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중대산업사고 부상의 기준을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으로 명확히 하고, ②최근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설비의 전기.. 2023. 6.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