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화기 안전작업 절차(JSA) 화기작업이란 용접, 용단, 연마, 드릴 등 화염 또는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작업 또는 가연성물질의 점화원이 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는 작업을 말한다. 화기 안전작업 절차 작성을 위한 JSA 자료로서 공유하고자 한다. 화기 안전작업 절차(JSA) 화기 작업과 관련된 잠재 유해 위험 요소를 파악 제거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산업 안전 및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화기 안전작업 절차 준수가 필요하다. 화기 작업관련 공통 사항 화기 작업 인지 - 관할 구역의 관리감독자 또는 화기작업허가권자는 작업요청서, P&ID등 도면 확인, 작업 현장을 방문하여 화기 작업 대상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 허가권자는 모든 유해 위험 요소를 제거 또는 제어한 후 화기 안전작업허가서를 승인하여야 한다. - 화학공장에서의 화기.. 2023. 8. 6.
SIF Validation(유효성 확인) 공정안전 과정에서의 SIF Validation(유효성 확인)에 대해 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SIF Validation(유효성 확인) Verification vs. Validation 다음은 Software 분야에서의 개념 구분이다 검증(Verification): 우리가 제품을 올바르게 빌드하고 있나? Are we building the PRODUCT RIGHT? 개발자 중심의 시스템 검증 과정(개발 과정의 스펙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했나? ) 문서 기반의 정적인 분석 과정 확인(Validation): 우리가 올바른 제품을 빌드하고 있나? Are we building the RIGHT PRODUCT?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검증 과정(최종 결과물이 사용자에 대한 요구사랑을 충족했나? ) 실제 제품을 검.. 2023. 8. 1.
공정안전보고서 재제출 공정안전보고서의 이행 상태 평가 시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을 변경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보완 상태가 불량한 경우 공정안전보고서를 재제출한다. 공정안전보고서 재제출 관련 법규 제46조(공정안전보고서의 이행 등) ① 사업주와 근로자는 제45조제1항에 따라 심사를 받은 공정안전보고서(이 조 제3항에 따라 보완한 공정안전보고서를 포함한다)의 내용을 지켜야 한다. ② 사업주는 제45조제1항에 따라 심사를 받은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을 실제로 이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③ 사업주는 제45조제1항에 따라 심사를 받은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을 변경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그 내용을 보완하여야 한다. ④ 고용노동부장관.. 2023. 7. 30.
SIL (design) verification SIL verification(검증)은 기기 보호의 신뢰성이 IEC 61511 및 IEC 61508 표준에 따른 SIL 요구 사항을 충족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SIL (design) verification Safety Integrity Level (SIL), SIFs (Safety Instrumented Functions), Safety Instrumented System(SIS) SIL 검증 개요 SIL 검증은 기기 보호의 신뢰성이 IEC 61511 및 IEC 61508 표준에 따른 SIL 요구 사항을 충족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각 개별 SIL 1/2/3 또는 4 안전 가드에 대해 SIL 검증을 수행하여 다음 항목을 확인하여야한다: 안전 장치 식별(Identification of safeguard). .. 2023. 7.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