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용접의 분류 및 위험성 용접(鎔接, Welding)은 두 개의 똑같거나 서로 다른 금속 재료 사이에 고열을 가해서 붙이는 기술이다. 금속은 금속끼리 접할 때 전자를 교환하며 붙는 금속결합을 하게 되는데, (주로 고열을 이용해 녹여서) 서로 다른 재료의 결합 표면을 일치시키고 불순물을 제거, 혹은 섞여 들어가게 하여 붙이게 된다. 용접의 분류 및 위험성 용접의 분류 보통 용접이라 하면 대개 고온에서 금속을 녹이면서 접합하는 것으로, 용접의 분류에는 융접, 압접, 납땜이 있다. - 융접은 모재(대상이 되는 금속)를 융해시켜서 붙이는 것으로 퓨전 웰딩(Fusion welding)이라고 부른다. - 압접은 모재를 소성변형시켜 붙이는 것으로 프레셔 웰딩(Pressure welding) 혹은 스폿 웰딩(Spot welding)이라고 한다.. 2024. 3. 20.
CO2 용접 안전작업 CO2 용접(CO2 Gas Arc Welding)은 탄산가스를 이용한 용극식 방식으로 스풀(Spool, 실패)에 감겨진 용접와이어(솔리드[Solid Wire] 또는 플럭스 코어드[Flux Cored Wire])가 공급 모터에 의해 용접 토치로 자동으로 공급되어 연속적으로 용접되는 용접법이다. CO2 용접 안전작업 CO2 용접(CO2 Gas Arc Welding)은 탄산가스를 이용한 용극식 방식으로 스풀(Spool, 실패)에 감겨진 용접와이어(솔리드[Solid Wire] 또는 플럭스 코어드[Flux Cored Wire])가 공급 모터에 의해 용접 토치로 자동으로 공급되어 연속적으로 용접되는 용접법이다. CO2 용접 개요 CO2 용접작업에 사용되는 용접기의 구성을 보면, CO2 용접기 본체, 용접 토치, 와.. 2024. 3. 20.
감전 재해예방 가이드 감전(Electric shock) 요인 및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등을 공유하고자 한다. 감전 재해예방 가이드 감전(Electric shock)은 전기 에너지가 인체에 가해져 충격을 받는 현상을 말한다.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18조(전기작업자의 제한) 사업주는 근로자가 감전위험이 있는 전기기계ㆍ기구 또는 전로(이하 이 조와 제319조에서 “전기기기등”이라 한다)의 설치ㆍ해체ㆍ정비ㆍ점검(설비의 유효성을 장비, 도구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점검으로 한정한다) 등의 작업(이하 “전기작업”이라 한다)을 하는 경우에는「유해ㆍ위험작업의 취업 제한에 관한 규칙」제3조에 따른 자격ㆍ면허ㆍ경험 또는 기능을 갖춘 사람(이하 “유자격자”라 한다)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 2024. 3. 19.
배출시설 등의 폐수 시료 채취 시료 채취는 수질을 정확히 대표하고 실험실에 도착할 때까지 조성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료 채취와 보존은 법적인 요구 사항이므로 규정에 따라 실시한다. 배출시설 등의 폐수 시료 채취 관련 법규 환경부고시 제2017-4호(2017.1.11.)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제6조에 따라 수질오염물질을 측정함에 있어 측정의 정확성 및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사항에 대하여 규정 ● 시료의 채취 및 보존 방법(ES 04130.1c) 폐수 시료 채취 지점 폐수의 성질을 대표할 수 있는 곳 (그림 1)에서 채취하며 폐수의 방류수로가 한지점 이상일 때에는 각 수로별로 채취하여 별개의 시료로 하며 필요에 따라 부지 경계선 외부의 배출구 수로에서도 채취.. 2024. 3. 19.
728x90
반응형